겨울 강가에서

                     - 안 도현 -

어린 눈발들이, 다른 데도 아니고

강물 속으로 뛰어내리는 것이

그리하여 형체도 없이 녹아내리는 것이

강은,

안타까웠던 것이다

그래서 눈발이 물위에 닿기 전에

몸을 바꿔 흐르려고

이리저리 자꾸 뒤척였는데

그때마다 세찬 강물소리가 났던 것이다

그런 줄도 모르고

계속 철없이 철없이 눈은 내려,

강은,

어젯밤부터

눈을 제 몸으로 받으려고

강의 가장자리부터 살얼음을 깔기 시작한 것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04-03-20 00: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멋있는 시네요. 그림도요. 저 이거 퍼갈께요.

잉크냄새 2004-03-19 11: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디를, 무엇을 바라볼지 몰라 세월만 소복히 쌓였답니다.
 
시가 내게로 왔다 1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시가 내게로 왔다 1
김용택 지음 / 마음산책 / 200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쉽게 쓰여진 시가 없듯이 쉽게 읽히는 시 또한 없다고 본다. 시인이 품고있는 그 함축적, 상징적 의미를 독자의 입장에서 완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일수도 있다. 내가 시인이 되고, 시인이 내가 되어야만 100퍼센트의 교감이 가능할 것이다. 우리의 교육이 이러했다. 우리가 완전히 시인의 머릿속으로 들어가도록 밀어넣었다. 각종 화법부터 은유적 의미까지 분석한 자료에 의한 해설식 시에만 익숙해져왔다. 어떤 식으로든 100퍼센트의 일치성을 찾아내야만 했던 고된 작업이 우리가 시에게서 멀어져 가도록 만들고 있었다.

김용택은 이야기한다. ' 사랑하고, 감동하고, 희구하고, 전율하며 사는 것이다' 라고, 이 말이 그가 시를 읽는 우리에게 전달해주고자 하는 메세지이다.

녹아내리는 눈이 안타까워 스스로를 얼리는 겨울 강가의 살얼음을 사랑하고, 산등성이에 누워 계시는 와불님의 팔을 베고 누워 불러보는 엄마라는 외침에 눈시울 붉히고, 향기로운 이슬밭 푸른 언덕을 총총총 달려올 나의 고운 님을 그리고, 속으로 혼자 조용히 울고 있을 갈대의 속울음을 알아주는 그런 시이고 시인들인 것이다.

한동안 그런 생각이 들었다. 내가 시를 읽는 것이 아니라 인쇄화된 활자를 읽고 있는 것이라고...시간이 지나면 허탈함으로만 남는 그런 빈 공간이라고... 이 책은 그러한 빈 공간에 한점을 깊숙히 찍어 공간에서 여백으로의 탈바꿈을 이루어주고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4-03-27 21: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사랑에는 한가지 법칙밖에 없다.

그것은 사랑하는 사람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다.

- 스탕달 -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icaru 2004-03-17 20: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오...저 간단한 것이 어찌 그리 힘들까요???

잉크냄새 2004-03-18 1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리란 원래 우리들 가까이 쉽게 다가와있지만 인식하지 못하고 설령 인식한다 할지라도 실천하지 못하는 특성이 있는것 같아요.

비로그인 2004-03-21 15: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정말 그러네요. ^^ 정말....
 
 전출처 : stella.K > [펌]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곡

출처블로그 : 사랑
..

이곡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곡 1위에 선정됐다.

한국인이라면 모두 이 노래를 알 것이다.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작곡가들로 이루어진

세계 아름다운 곡 선정하기 대회에서 지지율 82%라는 엄청난

지지를 받고 이곡이 선정됐다.

선정 과정중에서 단 한명의 한국인도 없었고 이들은 놀라는 눈치였다.

'이곡은 한국이라는 나라를 나에게 깨우쳐줬다'

'듣는 도중 몇번씩 흥이났다'

'말로 표현할 수 없다 감동적이다'

이들 모두 처음 듣는 곡들 이었으며

한국 유명 전자바이올리니스트 유진박이 아리랑을 전자바이올린으로 연주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잉크냄새 2004-03-17 17: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리랑'은 우리 민족의 정서를 꿰뚫는 무엇인가를 품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외국인의 가슴에도 무엇인가를 느끼게 하는 모양입니다. 그 무엇을 말로 표현할수 있을까?

icaru 2004-03-17 20: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외국 생활 오래하고 있는 교포들 중에 누가 듣는다면, 눈물 찡해지겠네요...한국이 그 정서가 그리워서요....
영국의 아카펠라 그룹 중에 킹스씽어즈 라고 있는데.....이들이...내한에서 공연을 한 적이 있어요...수년됐네요...그런데...한국에 와서 공연하니까 인사 표시로 그런 건지는 몰라도...마지막 앵콜송으로 양희은의 상록수를( 한국어로요....)불렀는데.....정말...그들의 음색을 통해서 다시 들으니....더 좋고 찡하더라고요...

갈대 2004-03-18 00: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듣다가 소름이 몇 번이나 돋았습니다. 왜일까요..

잉크냄새 2004-03-18 10: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소름이 아니라 전율이 아닐런지요. '사랑하고, 감동하고, 희구하고, 전율하며 사는 것이다' 라는 말의 모든 의미를 함축한 노래인것 같군요.

비로그인 2004-03-21 15: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은 모르지만, 유진 박이 아리랑의 느낌을 잘 살려 연주한 것 같아요. 오랜 미국 생활로 어쩌면 "아이랑" 속에 담긴 우리 민족의 희노애락, 그 중에서도 애환을 잘 이해하지 못할 것도 같은데요.
 

시간은 우리가 받은 가장 소중한 선물이다. 왜냐하면 시간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누군가에게 우리의 시간을 들인다면 우리는 그 사람에게 다시는 돌려받지 못할 삶의 일부를 주는 것이다. 우리의 시간은 우리의 삶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간은 우리가 누군가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선물이다.

- 릭 워렌 <목적이 이끄는 삶>中 -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4-03-21 15: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럼 지금 제가 님에게도 선물을 드리고 있는 건가요? ^^

잉크냄새 2004-03-21 21: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선물 감사히 받겠습니다. 저도 시간내어 선물 드리러 한번 들릴께요.

미네르바 2004-05-03 17: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누군가에게 우리의 시간을 들인다면 우리는 그 사람에게 다시는 돌려받지 못할 삶의 일부를 주는 것이다...' 깊이 생각하게 하는 글이네요. 퍼갈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