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벽으로 인하여 망가진 감정을 너무나 단순하게 처리하려 드는 것을 봅니다. 감정을 이성과 대립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이성에 의하여 감정을 억제하도록 하는, 이를테면 이성이라는 포승으로 감정을 묶어버리려는 시도를 종종 목격합니다.
이것은 대립물로서의 이성을 대립적인 것으로 잘못 파악함으로써 야기된 오류입니다. 감정과 이성은 수레의 두 바퀴입니다. 크기가 같아야 하는 두개의 바퀴입니다. 낮은 이성에는 낮은 감정이, 높은 이성에는 높은 감정이 관계되는 것입니다. 일견 이성에 의하여 감정이 극복되고 있는 듯이 보이는 경우도 실은 이성으로써 감정을 억누르는 것이 아니라 이성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은 단계의 감정에 의하여 낮은 단계의 감정이 극복되고 있을 따름이라 합니다. 

신영복 교수님의 <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p239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우주 2005-08-29 21: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역시 신영복샘이군요. 저도 이 책 읽었는데 너무 오래되어서 가물가물.. 다시 읽어야겠어요.

검둥개 2005-08-29 21: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이성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은 단계의 감정, 저도 배우고 싶어요...

마늘빵 2005-08-29 21: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거 읽은지 오래되서 별로 기억에 남는게 없네욤. 감옥에서 낑겨 자면서 인간다움 어쩌고 한 그거는 가물가물 기억나는데.

2005-08-29 21: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잉크냄새 2005-08-30 08: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연보라님 / 님은 벌써 읽으셨군요. 부끄럽게도 전 십여년이 훨씬 지난 지금에야 감동하며 읽고 있답니다.
검정개님 / 소위 말하는 이성과 감정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더군요. 이성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은 단계의 감정이라...
아프락사스님 / 님이 말씀하신 부분은 여름 징역살이 라는 서간문인것 같네요. 철학을 전공하신 님이 바라보는 교수님은 어떨까 궁금하네요.
속삭이신님 / 그렇게 버리는 것이 가장 큰 용기가 아닐까요. 다음에는 이쪽으로도 퍽퍽 줘버려주시길... 아, 근데 전 지금 감정의 기복이 없다고요...ㅎㅎ

비로그인 2005-08-30 10: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짱구는 못말려>란 만화 영화를 보면 딱 제 스퇄인 캐릭터가 나옵니다. 짱구가 눈치없이 유리몫의 비싼 소갈비까지 먹어치우자 유리엄마는 부글부글 끓는 속을 참으며 짱구에게 정말 잘 먹는다고, 웃으며 격려해주죠. 그리곤 화장실에 가서 권투 글러브를 끼고 토끼 인형을 꺼내 사정없이 펀치를 날리더라구요. 이성의 높이만큼 감정도 성숙하는 거라면 전 아직 유리엄마 단계인 듯 합니다. 멀었다는 얘기죠. 글고 선생님 책은 시기가 언제든 새로운 감동을 주더라구요.*^^*

잉크냄새 2005-08-30 13: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복돌이님 / 오호, 참 적절한 비유군요. <짱구는 못말려>에 담긴 철학적 의미를 그리도 잘 짚어내시다니..역시...ㅎㅎ

파란여우 2005-08-30 16: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어려워요..너무 철학적에요.암튼, 짱구도 먹고 싶고, 굴비도 먹고 싶어요^^

2005-09-01 10: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잉크냄새 2005-09-01 11: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우님 / 웬 엄살을 떨고 그러시나요?? 님의 심오한 글에 항상 감탄하는 잉크이거늘...
속삭님 / 무슨 말씀이세요. 그렇게 활달하고 명랑한 모습을 보는것 같아 을메나 흐뭇하다고요. 님의 글 자주자주 접하는 것이 이생의 봄날 (노래 제목?) 같다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