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시인이 서른을 이렇게 표현했다고 한다.

"새로운 세상을 꿈꾸기에는, 혁명을 꿈꾸기에는 너무 늦은 / 그냥 그냥 묻어있기에는, 절망하기에는 너무 이른 / 그 사이에서 절뚝거리며 저기 서른들이 걸어간다."

이등병의 편지로 군입대전의 청춘의 눈시울을 붉게 물든인 김광석은 서른즈음에로 가뜩이나 서글픈 가슴을 울리곤 했다.

"또 하루 멀어져간다 내뿜은 담배연기처럼 / 작기만한 내 기억속에 무얼 채워 살고 있는지 / 점점 더 멀어져간다 머물러 있는 청춘인줄 알았는데 / 비어가는 내 가슴속엔 더 아무것도 찾을수 없네 / 계절은 다시 돌아오지만 떠나간 내 사랑은 어디에 / 내가 떠나 보낸 것도 아닌데 내가 떠나온 것도 아닌데 / 조금씩 잊혀져간다 머물러 있는 사랑인줄 알았는데 / 또 하루 멀어져간다 매일 이별하며 살고 있구나"

이십대 중반에 입사한 후로 한두살 많은 동기들의 서른을 이 노래로 놀려주곤 했었다. 그때 먼저 서른이 된 녀석들이 말하기를 나이의 앞자리가 바뀌는 것이 묘한 기분이 든다고 했다. 십대에서 이십대로의 변화는 거의 들뜬 기분으로 반겼지만 이십대에서 삼십대로의 변화는 서글프다는 표현외에는 달리 말할길이 없었다.

이십대에 난 내 육신과 영혼의 상처에 소금을 뿌리지 않았다. 곪아터져 고름이 흥건할지라도 시간이 나를 치유하리라 위로했다. 지친 영혼이 밑으로 밑으로 가라앉더라도 그것은 청춘의 특권이라 스스로를 위로했다. 다시는 돌아올수 없는 시간을 열정이라는 거짓된 포장으로 감싸안고 서른을 맞았다. 

서른이 넘어서 스스로를 청춘이라 칭하여 본들 그 단어에는 이미 이십대의 싱긋한 푸르름이란 자취를 감춘 뒤였고, 세상을 향한 거친 반항에도 자기 방어적인 보호본능이 농후한 시늉에 지나지 않았다. 광석이 형의 서른즈음에를 안주삼아 기울인 술잔속으로도 서른은 깊이 잠수하지 않은채 술잔 곁을 쓴 소주맛으로 곁돌고 있었다. 어느 날 숙취에 잠이 깨어 옆을 바라보니 서른은 어느새 내 곁에 누워있었다. 그렇게 서른은 다가왔다.

요즈음은 초반/중반/후반에 의미를 둔다. 아직 초반임에 감사하며 살 줄 아는 겸손(?)을 배우고 있다. 서른을 기점으로 아직 숨쉬고 있는 내 안의 청춘과 내 밖의 가혹한 현실 사이에서 비틀거릴지라도 나의 나이를 찾아가고 있다.

고로, 난 현재의 나의 나이를 사랑하고 책임지며 살고 있다. 청춘의 잔재들을 밑거름 삼아 나를 가꾸어 가고 있다. 인정하기 싫었던 나이 3 는 내 인생에 없을 것이다.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aviana 2004-03-22 14: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서 광석이형의 서른즈음에는 항상 슬픕니다...들어두 슬프고 노래방에서 불러두 슬프고...
이나이때의 우리들에게만 더한 건가요?

stella.K 2004-03-22 15: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30이란 나이를 왜 슬프게 측은하게 보는지 모르겠네요. 저도 한때는 25살이 넘으면 어떻게 사니 했던 때가 있었죠. 너무 늙어보이는 것 같아서 말이죠. 물론 한번 지나간 청춘은 다시 돌아오지 않지만, 그만큼 세상을 살았기 때문에 실수도 좌충우돌도 덜하고, 세상을 관조하는 안목도 생기더라구요.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떠들기도 합니다만, 나이가 주는 삶의 무게를 쉽게 떨쳐버리지는 못하죠. 하지만 그러다가도 나이가 주는 안정감이 또 있더라구요. 그래서 30도 되고, 40도 되고 70도 되고 그러는가 봅니다. 중요한 건 이제부터 어떻게 나이들어 갈 것 인가가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갈대 2004-03-22 15: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3.. 제 나이에도 3이 들어가네요^^ 아직 20대임을 감사하고 있습니다.

비로그인 2004-03-22 17: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이를 먹는다는 거......^^ 이하 생략입니다.....

잉크냄새 2004-03-22 18: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파비아나님은 그전부터 비슷한 세대일거라 생각했지요. 저번 김광석의 코멘트에서 짐작했지요... 스텔라님 저도 님과 비슷한 안목입니다. 다만 서른이 주는 서글픔만은 배제할수가 없더군요... 갈대님, 왕부럽습니다요... 냉.열.사 님, 아마 지금 나이가 아닌 커피를 마시는 듯...^^

겨울 2004-03-22 19: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20대를 워낙 힘겹게 보내서 그런지 중반에 선 지금이 너무 행복합니다. 매사에 넉넉한 여유도 생기고 시행착오도 덜 하구요. 하루하루가 불안했던 20대의 예민한 감수성이 무디어진 탓인가요. 정말 힘든 건 20과 30 사이에 있는 다리를 건너는 일이었어요. 딱, 죽을 것 같더라구요. 그런데 지나간 시간은 아름답건 추하건 전부 그립기만 하네요....... 힘내서 더 많은 나이를 먹어볼 생각입니다.

잉크냄새 2004-03-22 2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20대에서 30대로의 통과의례로서의 서른을 잠시 서글퍼한 것이지요. 10대,20대,30대... 스스로의 삶을 사랑하지 않은 구석은 아마 한군데도 없을겁니다. 다만 지나간 세월에 대한, 다시는 돌이킬수 없는 시간에 대한 그리움의 표현이라고 말하고 싶네요. 앞으로 나에게 주어진 삶, 더 사랑하며 뜻있게 맞이해야겠지요.

2004-03-23 12: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비로그인 2004-03-23 12: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 있는 시간, 앞으로 주어진 시간을 뜻있게 살아야지! 하면서도, 지나보면 자꾸 지나간 시간들이 아쉽고 안타까운거 같아요. 눈부신 청춘, 청춘일때는 그 눈부심을 쉽게 깨닫지 못한다고나 할까요...^^

ceylontea 2004-03-23 20: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파란여우님 40대여요?? 전 20대... 많아도 30대인줄 알았어요...
음... 파란~~이라는 이미지에서 싱싱한 젊음을 느꼈나봅니다..

잉크냄새님... 30... 금방 익숙해집니다.

잉크냄새 2004-03-24 08: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논어》 〈위정편(爲政篇)〉에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나는 15세가 되어서 학문에 뜻을 두었고(志學), 30세가 되어서 학문의 기초가 확립되었으며(而立), 40세가 되어서는 판단에 혼란을 일으키지 않았고(不惑), 50세가 되어서는 천명을 알았으며(知命), 60세가 되어서는 귀로 들으면 그 뜻을 알았고(耳順), 70세가 되어서는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하여도 법도에 벗어나지 않았다(從心)
실론티님! 저 벌써 익숙하답니다. 파란여우님은 20대의 감수성을 간직한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세대의 분이란걸 미루어 짐작하고 있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