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문고 줄 꽂아놓고 - 옛사람의 사귐
이승수 지음 / 돌베개 / 2006년 9월
장바구니담기


고급 자동차를 타고 고향에 가는 길에 경운기를 몰고 가는 친구를 만나면 차에서 내려 흙 묻은 손을 만지며 인사하겠다는 이 설정은 소박하고 간명해서 좋다. 우정이란 이런 게 아닐까? 하지만 이런 우정이 쉽지 않다는 사실을 세상맛을 조금이라도 본 사람은 다 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에게 우정이란 저 강 건너에 있는 것, 조금씩 어긋나는 것, 아름답지만 깨지기 쉬워 조심스러운 것, 그리고 때로는 상처투성이의 그 무엇이다. 나이가 들면서, 그리고 죽음이 가까워지면서 사람은 차츰 혼자 남게 된다. 이렇게 철저하게 혼자, 즉 고독한 개인이 되었을 때의 벗이 진짜 벗이고, 그들의 사귐이 바로 우정이다. 이때 벗은 나를 발견하는 거울이고, 내 고독을 감싸주는 울타리며, 내 마지막 자존심을 지켜주는 보루이다. -10~11쪽

여기도 저기도 끼지 못한 사람들은 불안에 시달린다. 그러다가 종교 사원에 모이고, 동창회에 모이고, 친목회에 모이고, 향우회에 모인다. 이 사회에서는 어딘가에 속하지 않으면 불안하다. 그렇다면 어딘가에 속한 사람들의 마음은 편안한가? 그들도 불안하다. 그래서 늘 일체성과 연대감을 확인하고, 규칙과 의리에 집착한다. 자신의 판단보다는 관습을 더 믿게 되고, 자기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때 소문에 온 신경을 곤두세운다. 필요하고 원해서 결속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분위기가 그러하니 뒤처지거나 손해 보지 않기 위해서 모일 뿐이다. 그러니 이 사회엔 손님밖에 없고, 피해자 아닌 사람이 없다. 패거리 문화의 병폐이다. -21쪽

우정은 이처럼 다른 존재들을 집단 속에 가두거나 하나로 묶는 것이 아니라, 차이를 인정하면서 서로를 신뢰하는 데서 생겨나는 것이다. 우정의 첫째 조건은 일치나 연대가 아니라 바로 신뢰이고, 이 신뢰는 성숙한 인격에서 나온다. -24쪽

사람의 마음에는 묘한 관성 같은 게 있어서 번화함을 쫓다 보면 더욱더 번화한 곳을 찾고, 적막함에 길들여지면 더 깊고 그윽한 곳을 그리워하게 된다. -8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