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작인 이반 알렉세예비치 부닌의 장편소설 <아르세니예프의 생>이 완역출간됐다. 프랑스로 망명한 부닌이 조국 러시아에 대한 향수와 사랑을 써내려간 자전적 소설이라고 한다. 낯선 이름의 작가이지만 부닌은 시인으로 출발하여 푸슈킨 상을 수상하기도 했고, 여러 단편을 통해 러시아 문단에 반향을 불러일으켰다고 한다. 볼셰비키 혁명으로 제정러시아가 붕괴한 후 프랑스로 망명하였고 이 작품은 1927년부터 집필해 1933년 완성했으며 그 해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고. 러시아 문학은 아직 많이 소개되지 않아 어떤 문학을 담고 있는지 궁금함이 앞선다. 꽤 부담스러운 두께라 금방 읽을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지만 좋은 경험이 되지 않을까 싶다.


6월 15일 개봉예정인 유하감독의 비열한 거리를 책으로 먼저 만나볼 수 있게 되었다. 삼류조폭조직의 2인자 병두. 조직의 뒤를 봐주는 황회장이 미래를 보장할테니 그를 괴롭히는 부장검사를 처리해달라는 부탁을 한다. 병두는 위험하지만 빠른 그 길을 선택하는데...유하감독은 이전에 <말죽거리 잔혹사>나 <결혼은 미친 짓>이다와 같은 작품에서도 직접 각본과 감독을 맡았는데 이 작품에서도 역시 각본과 감독을 함께 맡고 있다. 조인성이란 잘생긴 배우가 나와 내용만 괜찮다면 어느 정도 흥행할 수 있을 것도 같지만 월드컵이란 변수가 있어서 어떻게 될런지. 일단은 책으로 먼저 만나보는 것도 영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데 좋을 것 같다.

원서와 같은 표지로 이제서야 국내에 출간되었다. 세계 곳곳의 가봐야할 곳들을 기록한 책으로 유럽과 미국 중심의 책. 아시아 지역 여행지는 중국와 일본을 비롯해 부탄, 인도, 이란, 네팔, 스리랑카, 터키, 캄보디아, 인도네이사 등의 여행지가 모두 124곳 소개되어 있다고 한다. 중국은 18곳. 일본은 7곳이나 있건만 한국의 여행지는 단 한 곳도 소개되지 않았다고. 꽤 상세하게 각 장소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는 데 우리나라가 없다는 아쉬움이 있긴 하지만 한 번 읽어보는 것도 앉아서 세계여행하는 느낌을 느끼게 해줄 수는 있을 듯 싶다. 여행시에도 도움이 될 듯하고.











관심가는 여행서적들. 먼저 <하늘로 열린 땅 티베트, 타클라마칸 기행>은 50일간 중국 서부 지역의 탐험을 담은 책이다. 남극, 북극에 이어 '제 3의 극지'로 불리는 티베트 고원과 '한 번 들어가면 나오지 못하는 땅' 타클라마칸 사막이 있는 지역을 한국산 자동차를 이용하여 여행하며 그 곳의 삶과 문화를 살펴보고 있다. 왠지 베일에 쌓여 있는 듯한 느낌이 드는 지역이라 실제로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아메리카 자전거 여행>은 자전거에 몸을 싣고 80일 동안 미국을 혼자 횡단하며 겪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자동차나 기차 등의 이동수단을 이용할 때보다 더 몸도 힘들지만 그만큼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그동안 한겨레신문에 연재되었던 글을 묶어 책으로 출간하였다. 동아일보 워싱턴 특파원 출신의 저자가 어떻게 자전거 여행을 계획했는지, 어떻게 자전거 여행을 성공리에 마쳤는지 책을 통해 만나볼 수 있을 듯.

<아메리카 여행 23개국>은 미국을 시작으로 캐나다, 멕시코 등의 북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의 여러나라, 브라질, 칠레, 페루 등의 남아메리카까지 아메리카의 남북을 관통한 여행기이다. 이전에 <유럽여행 40개국>과 <아시아여행 38개국>을 펴낸 저자가 이번에는 아메리카를 파고들고 있다.

<죽기 전에 꼭 해봐야 할 체험여행 31>에서는 30대 샐러리 맨이 13개월에 걸쳐 장기여행을 떠나는 이야기. 보통 여행이란 관광지를 둘러보는 것으로 끝나지만 이 책 속의 주인공은 실제로 그 나라의 문화를 경험해본다. 벨리댄스를 배우기도 하고, 스쿠어다이빙, 말달리기, 사막투어, 온천여행 등. 그 나라만의 독특한 문화를 직접 몸으로 체험했다고.

<마냐나 에스파냐>는 한 가족의 스페인 배낭여행을 담고 있다. 여행을 준비하는 과정과 여행지에 대한 지식, 그리고 각종 배낭여행 정보를 나누고 있다고. 부록에는 여행 일정과 지출 내용을 공개해 실제로 여행할 독자들에게 도움을 줄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