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주석의 한국의 美 특강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흔히 한국의 미를 떠올릴 때 매끈하게 빠진 곡선형 지붕, 뽀얀 백자, 은은한 색채의 청자같은 것들과 같이 교과서에서나 등장했을 법한 구절을 떠올리고 우리의 미술은 별볼일없다는 생각을 한다. 그에 반해 서양미술작품에 대해서는 더 많은 관심과 더 많은 지식들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학생들은 수묵화대신에 아그리파 조각상을 데셍하며 미술을 배워간다. 즉, 우리의 미술의 우수성이나 의미를 깨닫기도 전에 많은 사람들이 어릴 때부터 서양미술에 눈이 멀어 미처 우리미술의 아름다움을 발견하지 못한 것이다. 나도 이 책을 통해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다양한 미술작품들이 우리의 문화에 존재하고 있으며, 그것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점, 그동안 우리미술작품들을 바라본 내 눈이 잘못되었음을 이 책을 통해서 느낄 수 있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오주석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특강의 내용을 책으로 옮긴 것이다. 때문에 언급하고 있는 내용들도 어렵지 않고, 글 자체도 구어체로 되어 있어서 부드럽게 읽어갈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 뿐 아니라 작은 글씨로 청중들의 반응도 실어놓아 그들과 함께 놀라고, 함께 즐거워할 수 있었다) 책은 크게 강연의 흐름에 따라 옛 그림 감상의 두 원칙/ 옛 그림에 담긴 선인들의 마음/옛 그림으로 살펴본 조선의 역사와 문화 이렇게 3부분으로 나뉘었다. 때문에 나같은 경우에는 실제 강연을 듣는 것처럼 첫째 이야기를 읽고 잠시 쉬고, 둘째 이야기를 읽고 잠시 쉬면서 되도록 책의 흐름을 따라가고자 했다.

  책 속에는 딱히 유명한 작품은 아니더라도 눈에 익숙한 작품들이 등장한다. 오주석은 <세한도>나 <몽유도원도>같은 빼어난 대작들은 잠시 뒤로 미뤄둔 이유를 그런 걸작들은 한 작품을 설명하는데 한 시간도 더 걸리기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대중강연에는 대중의 이해를 돕기 좋은 작품들을 선정했다는 것. 그는 강의 초반에 김홍도의 <씨름>을 보여주며 이 그림을 모르는 사람은 한 분도 안 계실 것. 그렇지만 자신의 설명을 듣고 나면 '아니, 저 그림을 한번도 제대로 본 적이 없네'라고 절감할 것이라고 이야기했는데, 정말 몇 페이지 뒤에서 그의 설명을 접하고 나니 내가 그 그림을 얼마나 건성으로 보고 있었는지 깨닫게 되었다. 작품의 구도, 등장인물들의 분석, 먹의 농담 등과 같은 세부적인 내용들의 설명을 듣고 마치 내가 씨름장에 가있는 듯한 생생함을 느낄 수 있었다. 이 외에 자연의 음양오행에 기초한 선조들의 생각에 놀랐으며, 단순히 고양이와 나비, 꽃이 그려져있다고 생각했던 그림이 실은 '70노인이 80 노인 되시도록 오래오래 장수하시는데, 그것도 잔병치레 없이 건강하게 청춘인 양 곱게 늙으시기를, 그리고 그 밖에도 가사 내외 모든 일이 다 뜻대로 되시길 바랍니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그림 한 장의 함축성에 대해 또 한 번 놀랬다. (같은 이유로 게 2마리가 보리를 잡고 있는 그림이 과거급제를 기원하는 것이라는 설명을 듣고 놀랬다)

  책을 한 장 넘길수록 서양 미술에 쏟은 관심의 반도 우리미술에 쏟지 못한 것이 부끄럽게만 느껴졌다. 우리미술을 서양미술의 관점으로 잘못된 눈으로 바라보았다는 점, 백자를 보며 왜 저렇게 밋밋한 작품을 만들었을까라고 생각했던 점 등이 잘못된 것이었다는 깨닫게 되었다. 우리의 미술은 우리의 눈으로 보아야하고, 단순해 보이는 백자라도 시대상을 고려해야했던 것일텐데. 호랑이의 모습을 꼼꼼하게 세세한 부분까지 사실적으로 그린 그림이나 곰보나 사팔뜨기인 모습도 있는 그대로 보여준 초상처럼 우리의 미술은 사실성면에서 세계 어느 미술작품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계기로 좀 더 한국미술과 가까워질 수 있을 것 같다. 저자의 다른 책인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을 통해 다시금 선조들의 정신을 느껴보려 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름왕자 2007-08-02 09: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천하고 갑니다.. ^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