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 박지원과 열하를 가다
최정동 지음 / 푸른역사 / 2005년 11월
평점 :
품절


  요새 부쩍 연암에 관한 책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듯 하다. 그가 이 세상을 떠난지 200년이 넘는 시간이 흘렀다는 사실 때문인지, 아니면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의 영향인지, 제법 연암에 관한 책들이 많이 나와서 평소 연암을 좋아하던 나로써는 왠지 이런 저런 방면으로 그를 만나볼 수 있다는 사실이 좋았다. 그 때문에 이 책이 나왔을 때도 '연암이 갔던 그 길을 다시 밟아본다는거지?'라는 생각에 잔뜩 기대를 했었다. 결과적으로 보면 이 책은 50프로 정도의 만족감만을 줬다.

  얼마 전, 겨레고전문학전집에서 북한의 학자인 리상호가 한역한 열하일기가 출간됐다. 그 책을 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사전만한 책이 세 권이나 되니 암만 내용이 이해하기 쉽다고 해도 오랜 시간이 걸릴터. 나 또한, 그 책의 초입부까지만 읽었을 뿐, 본격적인 내용에는 발도 디디지 못했다. 그 때문일까? 이 책에서 안내하고 있는 모습들을 100프로 공감하면서 읽기는 어려웠다. (물론, 저자느 열하일기의 내용을 발췌하여 소개하고 있기는 하다)

  이 책에는 지은이 외에도 10명 가량의 동행인들이 존재한다. 그들은 한, 중 수교 10주년을 맞아 기획된 중앙일보의 연행단으로 연암의 발길을 뒤 따른다. 하지만, 그 10여명의 사람들은 이 책에서 부수적인 인물에 불과하다. 물론, 그들의 여행담도 중요하지만, 내가 얻고자 했던 지식의 방향과 맞지 않아서인지 그냥 시시껄렁한 여행담같이 느껴졌다. 물론, 연암의 발자취를 따라 그 곳의 사진을 보여줌으로써 이해도를 높이는 건 좋았지만, 그마저도 칼라 사진이 아니라 뭔가 부족한 느낌이 들었고...

   쉽고 재미있게 연암의 사상을 풀어가는 점은 긍정적으로 보여졌고, 한 분야에서 높은 경지에 오른 사람들이 함께 모여 여행을 하면서 서로에게 자신의 지식을 전해주는 모습은 부럽게 느껴졌다. 일반인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게끔 쉽게 쓰여졌기 때문에, 혹 연암의 사상에 호기심을 가지는 독자라면 한 번쯤 읽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연암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읽어봄직한 책이긴 하지만, 이 책만을 통해서 연암을 깊이 이해하는 것은 바라지 않기를. 그저 그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키기에는 좋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