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 세상을 뒤바꾼 위대한 심리실험 10장면
로렌 슬레이터 지음, 조증열 옮김 / 에코의서재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사람이나 한 번쯤은 다른 사람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궁금해하고, 가끔은 물건을 어디다 뒀는지 생각이 나지 않아 머리를 쥐어 뜯기도 하며, 가끔은 다른 사람이 "너 그 때 그랬었잖아."라고 말하는데 전혀 기억이 나지 않은 경험도 있을 것이다. 그런 우리 생활의 일련의 사건들은 모두 심리학과 연관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학문들 중에서 사람들의 관심을 가장 많이 잡아당기는 것은 심리학일지도 모른다. 이 책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에서는 세상을 바꾼 10가지의 위대한 심리 실험이 등장한다.

  내가 심리학을 처음 접했던 것은 '교육심리학'을 통해서였다. 교직이수를 하지도 않으면서 잠시 교육대학원에 뜻이 있어 교직 과목을 몇 과목 들어놨었는데 사실 다른 과목은 좀 재미없었지만, 교육 심리학만큼은 재미있었다. 몇몇 실험들(유명한 파블로프의 개, 피그말리온 효과, 플라시보 효과 등)을 통해서 약간이나마 들여다본 인간의 심리는 미묘하기도 하고, 흥미롭기도 했다. 그 때문에 심리학에 약간의 관심을 가지게 됐지만, 내가 접한 심리학과 관련된 책들은 너무 딱딱하게 쓰여졌었고, 그렇다고 너무 대중적인 책을 고르자니 가벼워보였는데, 이 책은 그 중간에 서 있는 책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단순히 이론만 나열하고 있지 않다. 10가지의 실험이 어떤 것이었음을 보여주고 그에 관한 이야기들을 쉽게 풀어가고 있다. 스키너의 보상과 처벌에 관한 행동주의 이론에서는 정말 인간이 어떤 사람이 주무르는대로 변화할 수 있는 존재인가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자신의 딸인 데보라를 상자 속에 집어 넣어 인간의 심리를 주무를 수 있는가에 대한 실험은 무서웠다. 그렇지만 스키너는 그런 일련의 실험들을 통해서 하나의 이론을 발표해낸다. 사람들이 왜 불합리한 권위 앞에서 복종을 하는가에 대한 밀그램의 실험도 놀라웠다. 만약 내가 그 실험에 참가했더라면 아마 나도 전기 충격의 강도를 높여갔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섬뜩한 느낌마저 들었다.

   책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부분은 로젠한의 가짜 정신병 환자 연구였다. 이 실험이 재미있었던 이유는 고등학교 때 친구들과 하던 놀이가 생각나서였다. 고등학교 때 쉬는 시간에 수다를 떨다가 지겨울 때면 친구들과 나는 '우리만 빼고 교실에 모든 사람이 미친놈이다.'라는 가정을 세우고 다른 사람의 행동을 바라본 적이 있다. 미친놈이라고 생각하고 보니 정말 미친놈처럼 보였던 그 놀이(?)는 정말 배꼽을 잡고 웃었던 기억 중에 하나이다.

  그 외에도 스킨쉽이 사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할로의 철사 원숭이 실험이나 로프터스의 가짜 기억 이식 실험, 뇌의 일부를 잘라내는 모니즈의 실험 등 흥미로운 실험들이 실려 있다.

   실험을 행한 학자들은 솔직히 말하면 제정신이 아닌 듯 싶다. 동물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는 것까지는 어떻게 이해하겠지만, 인간을 상대로 실험을 하는 것은 왠지 비인간적인 느낌이 들었다. 물론, 그것이 인간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하기 위해 이루어진 실험이라고 할지라도 그 과정은 너무 잔인하다. 어찌보면 괴물과 같은 학자들. 그들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는 너무 모호하다. 분명, 우리의 삶은 그들의 실험을 통해서 변화했으니까 말이다.

  나처럼 심리학에 대한 관심은 있으나 막상 전문적인 책을 읽자니 왠지 거리낌이 들고, 그렇다고 대중을 상대로 한 너무 가벼운 책은 싫다는 사람들이 읽으면 만족할만한 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5-12-01 17: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이매지 2005-12-01 18: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 (사실 민망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