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자 조유전의 한국사 미스터리 - 발굴로 풀어본 살아 있는 우리 역사 이야기
조유전 이기환 지음 / 황금부엉이 / 2004년 7월
평점 :
품절


 우리는 흔히 역사를 교과서에서만 접한다. 교과서에 나오는 유물들이나 역사적 사건의 사실 유무를 떠나 그저 책에 나와있는대로 그러려니 하면서 읽고 넘어갈 뿐이다. 이 책 속에는 우리가 교과서에서 보아서 익히 알고 있는 칠지도, 거푸집, 무령왕릉, 고인돌등에 관한 이야기뿐만 아니라 유적 발굴의 뒷이야기를 비롯한 미처 알지 못했던 이야기들이 담겨져 있다. 우리가 유물을 책에서 보기까지 그 이면에는 수많은 고고학자들의 땀이 담겨있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다시금 알게 되었다.

 발굴이라는 것은 그 유물이 훼손되지 않게 발굴해내서, 그것을 복구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유물에 대한 해석도 중요하다. 유물이 만들어진 정확한 연도를 알지 못하는 경우 고고학계에서는 유적의 연대를 놓고 서로 의견이 대립된다. 이 책에 나오는 유적들의 대부분에서 그 유적의 연대나 용도등에 대한 대립이 이루어지고 있다. 노(老) 고고학자인 조유전은 이런 대립의 중간점에 서서 양쪽의 의견을 소개하고 그로써 독자에게 공평한 시각으로 사실을 알려준다는 점이 이 책의 장점이었다.

 조금 두꺼운 두께에 올칼라판이라서 책의 무게도 그럭저럭 나가고 읽는데 시간이 꽤 오래 걸리긴 했지만, 이 책에 등장하는 40여개의 발굴이야기는 역사에 대해 새롭게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주었다. 역사를 어렵게 생각하고, 역사에 꺼리낌을 느끼는 사람이 한 번쯤 읽어보면 역사에 대한 생각이 조금은 바뀌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더불어, 이 책에서는 역사에 대해서만 느끼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주장도 존중해줘야 하며, 한쪽으로 치우친 주장은 옳지 않음에 대해서도 느끼게 해줬다. 자신의 의견과 다른 의견이라고 하여도 그 의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함. 그것이 이 책이 전해주는 또 하나의 메세지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