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군 이야기 1 - 충격과 공포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 5
김태권 지음 / 길찾기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십자군 전쟁. 중세시대를 말할 때 결코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십자군 전쟁이다. 동방과 서방의 충동. 성지인 예루살렘을 되찾겠다는 일념을 앞세워 시작된 십자군 전쟁의 글로건. 단지 그것이 십자군 전쟁의 이유였을까? 이 책은 그 이면에 숨겨져있는 이유들을 보여주면서 최근 부시가 자행하고 있는 전쟁에 대해서도 꼬집어주고 있다. 책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은 '그저 예나 지금이나. 쯧쯧.'

  사실 역사라고 하면 굉장히 거리감을 느끼는 사람이 많다. 그나마 한국사라면 중,고등학교때 들은 풍월이 있어서 대~충 큰 줄기정도라도 알고 있지만, 세계사에 대해서는 많이들 모르고 있는게 사실이다. (물론, 세계사에 관심있어 하는 학생들도 있지만, 내가 수능을 볼 때만 하더라도 어려운 세계사보다는 사회문화를 많이들 공부했었다.나야 정치를 봤었지만.) 이 책은 그런 세계사의 지식이 거의 없는 사람이 읽어도 어렵지 않을 정도로 쉽게 쓰여져있다. 혹, '난 글이 많은 책은 딱 질색이야!' 라고 하는 사람이 있다고 해도 만화로 되어 있으니 편하게 읽을 수 있을 듯 싶다. 게다가 군데군데 농담도 던지기때문에 지겹지도 않다. (한 예로, 책 속에 등장하는 은자 피에르가 타고다니는 나귀의 얼굴은 부시이다.)

  그렇다면 과연 십자군 전쟁은 왜 일어나게 된 것일까? 이 책에서는 여러가지 이유가 등장하지만, 봉건 영주들과 기사들에게 수탈당해서 불만이 치솟은 민중들의 관심을 밖으로 돌리기 위해 지배층이 정치적으로 벌였다, 순진한 민중들이 동방을 정복함으로써 한 몫 잡아보겠다는 생각으로 벌어졌다 등등의 이유들이 등장하지만 겉으로 내세운 명분은 결국 종교적인 것. 과연 그렇게 수많은 사람들을 죽이는 것이 신의 계시였을까?

  흔히 왜 역사를 배워야 하는가 하는 물음에 우리는 '역사는 현재를 보는 거울이기 때문'이라는 말을 듣게 된다. 하지만 거의 천 년전에 있었던 일을 되풀이 하고 있는 부시의 모습은 무엇인가. 그는 거울도 안 보는 사람인가. 설득력없는 명분을 앞세워 수많은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고가는 전쟁. 그리고 각종 테러들. 역사는 과연 되풀이되는 것인가. 왠지 서글퍼진다.

   책 뒤에 부록으로 달려있는 제노사이드의 심리학이라는 챕터를 통해서 대량학살에 대한 심리적인 고찰을 알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이제 2권을 읽어야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anda78 2005-09-06 03: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귀 아니었어요? ㅎㅎ 부시 나귀.. 2권은 1권보다 가벼운 느낌이 들긴 해도 역시나 무지하게 재밌더이다. ^^

이매지 2005-09-06 08: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니 어쩌자고 전 노새라고 써놨을까요 -_ -a 비몽사몽간에 써서 정신이 없었나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