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리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지음, 권택영 옮김 / 민음사 / 1999년 6월
평점 :
절판


 심리학에 대해서는 문외한인 사람이라도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컴플렉스가 몇 가지 있다. 신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엘렉트라 컴플렉스를 비롯하여, 동화에서 비롯된 신데렐라 컴플렉스, 피터팬 컴플렉스 등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또 한가지 널리 알려진 것이 바로 이 책에서 유래된 '롤리타 컴플렉스'이다. 흔히 나이든 남자가 어린 여자아이에게서 성욕을 느끼는 것을 의미하는 이 컴플렉스는 여러 영화(연인이나 레옹같은 영화들)의 소재가 되기도 했기에 한번쯤은 원작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는데, 왠지 선뜻 손이 가지 않아서 미루고 있다가 읽게 되었다.

 이 소설은 험버트가 우연히 만나 한 눈에 반해버린 롤리타에 대한 감정의 변화들을 잘 보여주고 있다. 기본적으로 사랑 이야기라고 할 수 있긴 하지만 뭔가 일반인들의 시선으로 볼 때에는 다분히 비정상적인 그런 사랑. 험버트는 자신의 사랑이 자신과 롤리타를 파멸할 것을 예감하지만 그의 감정이나 본능에 따라 나아간다.

 이 책에서는 험버트의 설레임, 사랑, 불안, 배신감, 공포, 집착 등과 같은 일련의 감정들은 험버트 자신의 독백으로 독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이 된다. 그 때문에 독자는 기본적으로 아버지가 딸을 사랑하다니 (비록 친딸은 아니지만.) 이건 근친상간이고 비정상적인 사랑이 아닌가라고 반문하면서도 어느 정도는 험버트의 행동에 수긍을 하기도 한다. 물론, 도덕적으로 본다면 수긍할만한 가치도 없다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이 책은 알려졌다 시피 출판 당시에 외설 시비에 휘말렸었다. 이 책이 출판된지 50여년이 지난 지금에 읽어서도 외설에 대해서 논란이 있는 것 같지만, 개인적으로 이 책을 다 읽고 나서는 이 책을 외설이라고 하기엔 다분히 문학성이 담겨있지 않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고도로 다듬어진 어휘나 동음이의어를 이용한 어휘의 사용, 그리고 어느 정도 절제되어있는 감정의 표현들. 이런 것들때문에 이 책은 단순한 외설이 아니고 하나의 고전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책을 읽고나니 험버트가 왠지 불쌍해진다. 롤리타야말로 팜므파탈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고. 사랑하는 사람을 소유하고 싶어하는 집착을 보이는 사람. 그리고 그 사람을 이용하는 사랑받는 사람. 누가 더 나쁜 쪽이라고 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