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드랴프카의 차례 고전부 시리즈
요네자와 호노부 지음, 권영주 옮김 / 엘릭시르 / 2014년 1월
장바구니담기


오레키가 착각하는 것 같지만 나는 완벽주의자가 아니다. 준비나 사전 조사가 부족해서 실패하는 것은 논외지만, 상식적인 선에서 준비했는데도 실패하는 일은 물론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니 타인이 실패하는 것은 당연하고, 따라서 내가 실패하는 것도 당연하다. 그러므로 타인을 용서하듯 나 자신도 어느 지점에선가 용서해야 한다. -27쪽

충분히 즐긴다. 말은 간단해도 실제로는 제법 쉽지 않은 작업이다. 개인의 이해력의 차만 해도 도저히 무시할수 있는 요소가 아닌데, 기호의 차는 더더욱 큰 요인이다. 같은 마술을 봐도 이해력이 떨어지는 사람은 그게 얼마나 대단한 마술인지 100분의 1도 모를 것이다. 그렇다면 '마술을 보려면 마술사의 눈이 필요하다'는 뜻이 된다. 제아무리 풍요로운 오락에 접한들 '마음껏' 즐기는 것은 가능해도 '충분히' 즐기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33쪽

나는 아닌 게 아니라 온갖 것을 즐긴다. 지나치게 많은 것들이 재미있어서 호타로가 싸늘한 눈초리로 나를 바라볼 만큼.-115쪽

하지만 그것이 개인적 체험이라는 부분을 지금까지 소중히 여겨 왔다. 즐긴다는 행위를 순수하게 제공자와 수령자의 관계로 환원하는 게 내 취향이다. 그렇기에 나는 셜록 홈스 취미건 본초학 취미건 가장 친한 친구(어우, 이렇게 쓰니 엄청 창피한걸. 하지만 실제로 맨 먼저 나오는 이름이니 어쩔 수 없다)인 호타로와도, 저 멋진 마야카와도 같이 즐기려 하지 않는다.
좋아한다든지, 재미있다든지, 즐겁다든지. 그런 것은 꽤 나이브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빙를 들자면 마음에 드는 책꽂이 같은 것이다. 참고서면 심심풀이용 소설 등을 꽂아 놓은 대외용 책꽂이라면 또 몰라도 내 방 구석에 있는 책꽂이를 타인에게 보여줄 마음은 없다(마야카가 꼭 봐야겠다면 혹시. 마야카는 그런 소리 안 하지만). 그것과 마찬가지다. 나는 제공자와의 일대일 관계 속에서 상대방에 대한 기대를 조용히 높여 가며 유유히 즐기고 싶다. -115쪽

하지만 명작은 있을 수 있거든.
긴 세월, 많은 감상자. 그런 것에 계속 씻기고 체로 걸러져서 점점 최대 공약수만 남게 돼. 그걸 편의적으로 '명작'이라고 부르는 거야. 안 그래? 최대 공약수란 표현이 마음에 안 들면 '보편성을 획득한 것'이라고 바꿔 말해도 돼. 그거나 이거나 마찬가지니까. -125쪽

저는 모르는 것을 조사하는 일을 가능합니다. 이상하다고 생각되는 점을 발견하는 일은 가능합니다. 문제를 제기하는 게 곧 해결하는 것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제게는 별로 해당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는 제가 이상하게 생각이 듭니다. 저는 제가 이상하게 생가하는 일의 절반도 체험으로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흙과 물, 볏모를 준비한다고 쌀이 생기는 게 아닌 것과 비슷합니다. 모를 심어 훌륭하게 길러 내는 게 저희 농업에 종사하는 이들입니다. 오레키 씨는 지금까지 여러 번, 저는 그게 열쇠라는 것조차 알 수 없었던 사실에서 제가 생각지도 못한 답을 이끌어 냈습니다. 후쿠베 씨가 말하는 '빙과' 사건 때는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신세를 졌고, '여제' 사건에서도 멋진 발상을 보여 주었습니다. -221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4-03-24 18: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3-28 15:0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