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13 - 최후의 노력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3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 15권인 출간 예정인 로마인 이야기 중에서 13권을 읽는 다는 것은 책의 권 수만 봐도 이제 슬슬 로마는 끝이 나가는구나 싶어진다. 12권에서부터 이어지는 혼란의 3세기는 13권에서도 여전히 이어진다. 다만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와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멸망해가는 로마를 잠시나마 지탱하는 모습이 등장한다. 14권, 15권에서 다뤄질 내용은 로마의 마지막 150여년이 되겠지만, 어찌되었건간에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로마를 지키려고 노력은 한다. 디오클레티아누스가 거대한 로마제국을 지키기 위해서 한 일은 로마를 4등분하여 사두정치를 하는 것이다. 동방과 서방에 정제와 부제를 세워 각각의 지역을 방어하도록 한다. 이 때, 군사적인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정제, 부제로 임명되었음은 말할 나위도 없으리라. 다만,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주축이 되는 1차 사두정치에서는 정제, 부제의 개념이 있으나 이 때 정제와 부제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정치적인 결정을 받아들이게 되고 그 자신들은 정치적인 힘을 가지지 못하고 다만 그 지역에서 군사권을 가질 뿐이다. 하지만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자신이 죽기도 전에 은퇴한다. 그리고 시작되는 2차 사두정치부터 로마는 삐걱대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내전. 결국 콘스탄티누스가 차근차근 로마를 손에 넣기 시작하고, 그는 4개로 나눠져있던 로마를 다시금 혼자서 다스리게 된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에서 또 하나 중요한 것은 기독교이다. 현재 세계 3대 종교중에 하나인 기독교는 콘스탄티누스가 아니었으면 그저 그런 지방 종교로 있다가 사라졌을지도 모른다. 콘스탄티누스가 밀라노 칙령을 통해 기독교를 최초로 공인하고, 기독교를 육성해가는 과정 덕분에 기독교는 지금과 같이 영향력이 큰 종교로 자리를 잡을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그렇게 기독교를 간접적으로 장려한 콘스탄티누스는 죽기 전에 기독교에 입문을 하게 되지만...

 어찌되었건간에, 책의 제목처럼 로마는 그 나름대로 '최후의 노력'을 한다. 하지만 이미 기울어진 로마는 점차 로마다움을 잃어버리고, 콘스탄티누스 시대는 로마라고 포함할 수 있을까 싶어질 정도로 모든 상황이 이전과는 달라진다. 원로원의 형태나 역할, 세금, 군사제도 등등. 이래서는 과연 이 것을 로마사로 넣을 수 있을까 싶어질 정도이다. 로마는 점점 더 자신의 모습을 잃어가고 있다. 이 전에 만들어진 부조로 조잡하게 만들어진 콘스탄티누스 개선문처럼, 로마는 들여다볼수록 점점 더 조잡해지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이미 수명이 끝나야 할 사람이 애써 자신의 삶을 하루라도 더 늘리려는 모습이 엿보이는 것 같아서 왠지 씁쓸해진다. 이들은 이제 남은 150여년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 로마인답지 않은 로마인이 되어버린 그들은 이제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