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 쌉싸름한 초콜릿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8
라우라 에스키벨 지음, 권미선 옮김 / 민음사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구성은 독특하다. 총 12개의 장마다 하나의 요리가 소개되면서 요리를 만드는 과정과 함께 어우러져 이야기가 진행되어 간다. 그래서 그런지 읽는 내내 군침을 흘려가면서 이 책을 읽을 수 밖에 없었으니, 이 책을 읽을 땐 읽을 동안 먹을 양식들을 구비해놓고 보는 수밖에.

 이 책의 구성도 독특하지만, 내용도 조금은 독특하다. 주인공으로 나오는 티타는 가부장적인 성격을 가진 어머니인 마마 엘레나의 막내딸로 막내딸은 결혼을 하지 않고 평.생. 어머니를 모셔야 한다는 집안의 전통에 따라 사랑하는 남자인 페드로와 결혼을 하지 못하고, 페드로는 티타를 가까이에서 지켜보고 싶은 마음에 티타의 언니인 로사우라와 결혼을 하게 된다. 한 집에서 살게 된 두 사람이지만, 마마 엘레나의 감시때문에 이야기조차 자유롭게 할 수 없으니... 그렇게 티타를 억압하던 상황에서 티타는 의사인 존을 만나게 되고, 정신병원으로 보내달라던 마마 엘레나의 요청에 따라 존은 티타를 데리고 가 그녀를 정신병원으로 보내지 않고 보살핀다. 그리고 둘 사이에 사랑이 피어나고...그리고 페드로와 티타, 그리고 존의 이야기가 음식과 어울어져 맛깔스럽게 진행된다.

 어떻게 보면 이 책은 조금은 외설적이고, 관능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한 관능적이고 외설적인 표현도 음식에 빗대여 표현되기때문에 (예를 들어 도넛을 기름에 넣는 것을 세밀하게 묘사하는 것과 같은 비유를 들어서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어쨋든간에 이 책은 재미있다. 그리고 더불어 화도 난다. 티타를 억압하고 있는 것이 남성의 가부장적인 모습이 아니라 마마 엘레나라는 여성에 의해서 자행되는 것이며, 그녀의 모습은 어머니의 모습이라기보단 한 나라의 군주로의 모습처럼 너무도 강압적이고, 융통성 없기만 했다. 비단 그녀뿐만 아니라 그녀를 사랑하지만 그녀를 데리고 도망가지 못하고 그녀의 언니와 함께 사는 쪽을 택하는 페드로의 나약함도 마음에 들지 않았다. 만약 나라면 존과 페드로중에 어떤 남자를 선택했을까? 열정적이지만 질투도 많고, 나약함도 가지고 있는 패드로를 선택했을까? 함께 있는 것만으로 편안함과 안정을 느끼고 모든 것을 감싸줄 수 있는 존을 선택했을까? 나의 선택이야 어쨋든간에 티타의 선택은 그녀 자신의 마음이 이끄는 것이었으리라.

 영화로도 만들어진 것으로 알고 있는데, 기회가 된다면 한 번쯤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단, 넉넉한 포만감을 가지고 본다거나 옆에 먹을 걸 쌓아두고 말이다. 그렇게 한다고 해도 멕시코 음식의 유혹에서 자유로울 것 같지는 않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