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진 신세계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2
올더스 헉슬리 지음, 이덕형 옮김 / 문예출판사 / 199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는 잘 알려졌다시피 미래에 대해서 날카로운 비판을 던지고 있는 소설이다. 어떻게 보면 '유토피아'나 '걸리버여행기'처럼 무언가 현실적으로 가능할법한 세계를 비판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헉슬리가 말하는 '멋진 신세계' 곧 미래는 안정과 공유, 균등을 추구하는 세상이다. 만인은 만일을 위해 존재하므로 극단적인 연애가 성행하고, 사회적 안정을 위해 고독이나 슬픔같은 것은 되려 독적인 요소로 파악한다. 그리고 그들은 부모가 없이 수정병에서 자라게 되고 자랄때부터 끊임없이 수면교육을 받아 마치 파블로프의 개처럼 조건반사를 하는 모습을 보인다. 게다가 태어날 때부터 신분이 정해져서 정해진 신분에 맞게 자라나며, 인구조절도 필요한 양만큼만 출생을 시켜서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이러한 미래의 모습에 반기를 드는 인물들이 있으나, 그들은 모두 현실앞에서 무릎을 꿇게 된다. 야만인 보호구역에 갔다가 문명인의 자식인 존을 발견하고 프로이드는 그를 데려온다. 사람들은 야만인인 존에게 큰 관심을 보이나, 존은 그들의 생활에 적응하지 못한다. 결국 그는 조용하게 고독을 즐기면서 보내려고 하나 그것도 문명인들의 지나친 관심으로 할 수 없게 되고 결국 자살해버리고 만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속에서 그려진 수정병으 모습은 마치 현재 우리가 시술하고 있는 시험관 아기와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사실 이 책의 초반은 별로 재미가 없었는데, 중반을 지나면서 흥미가 잔뜩 붙어서 재미있게 읽은 것 같다. 존이 사랑하게 되는 문명인인 레니나의 문명인다운 자유연애에 존이 화를 내며 레니나를 창녀 혹은 매춘부라고 부르짖는 장면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이 책이 쓰여진지도 꽤나 오래 됐는데,(1932년작) 아직도 현실감이 있다는 건 그만큼 작가의 역량이 뛰어나기 때문이 아닐까 싶었다. 미래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게 해주는 작품이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