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1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진욱 옮김 / 문학사상사 / 199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하루키의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는 최근에 나온 '해변의 카프카'처럼 두 가지 이야기, 즉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라는 이야기가 서로 평행선을 그리면서 때로는 일치하는 면을 보이며, 때로는 개별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어 간다. '해변의 카프카'를 읽을 때도 느낀점이지만, 이런 식의 교차적 배열은 한가지 이야기에 대해 잠시 숨을 돌리고 다시 이야기를 전개시켜간다는 면에서 좀 더 안정적으로 글을 읽을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한가지 이야기만 전개되어 간다면, 그 자체의 전개에만 집중하게 되니까 말이다. 뭐 하지만 익숙하게 받아들이지 않은다면 사람에 따라서는 좀 복잡하다고 느낄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여튼, 인간의 자아, 인간의 본질에 대해 이야기 하고 싶어했던 하루키. 세계의 끝은 굉장히 정적인 공간으로 벽으로 둘러쌓여 있고, 그 곳의 사람들은 마음이 없이 굉장히 평화로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마음을 상징하는 그림자는 모두 그곳에서 죽는다. 새로 세계의 끝으로 온 주인공도 그림자를 떼어내고 그 곳에서 생활하지만, 그림자의 제안으로 세계의 끝을 탈출하려고 한다. 세계의 끝이라는 이야기에서 무언가를 바꾸어보고자하는 것은 주인공의 그림자뿐이다. 그림자를 빼곤 모두 그 생활에 만족하고, 불만없이 살아간다. 한편 다른 이야기인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는 굉장히 동적인 이야기이다. 쉴새없이 전개되어 가는 방식은 마치 무슨 인디아나존스라도 보는듯한 박진감을 전해준다. 일주일도 채 안되는 시간동안에 벌어지는 일을 박진감 넘치게 보여준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은 쉴새없이 바뀌어가는 상황속에서도 자신의 무력함. 자신의 자아를 찾고자한다.

하루키의 소설을 한권씩 접해가면서 느끼는 것은 기본적으로 하루키의 작품들은 고독을 내포하고는 있지만, 그 안에서 작가의 역량이 쉴새없이 발휘되고 있다는 것이다. 고독이나 자아의 성찰은 분명 현대사회의 인간들이 늘 접하는 문제이기도 하고, 그만큼 뗄레야 뗄 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 하루키는 현대 인간의 내면에 호소하는 면이 강하다고 생각한다. 따로이 작가는 이 작품에 대한 해석을 하지는 않았다. 독자 스스로 작품내부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되새기길 바랬던 것이리라. 우연찮게 1권 뒤에 있는 해석을 먼저 읽어버려서 작품을 읽는데 재미는 반감됐지만, (보통 해석은 2권 뒤에 있어야 정상이 아닌가?-_-) 나 자신의 본질에 대한 성찰을 해볼 수 있게 자극을 줬다는 점은 부정하고 싶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