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허삼관 매혈기는 책 제목 그대로 허삼관이란 인물이 피를 파는 이야기이다. 젊은 시절 우연하게 피를 팔게 된 그는 피를 판 돈으로 장가를 가고, 그 뒤로는 흉년이 들어서 먹을 것이 없어 졌을 때, 가족들을 먹여 살리기 위해서, 자신의 큰 아들이 사람을 쳐서 큰 돈이 필요할 때 그것을 갚기 위해서, 그리고 아픈 아들의 치료비를 마련하기 위해서 피를 팔게 된다. 허삼관의 젊은 시절부터, 느지막에 나이가 들었다고 피를 팔 수 없다고 퇴짜를 맞을 때까지의 인생을 때로는 우습게, 때로는 눈물나게 보여주는 것이 이 책이다.
한 가정의 아버지로서 가정을 지키기 위해서 자신을 위해서가 아닌 가족을 위해서 피를 팔았던 허삼관. 한 가정의 가장이라는 것이 무슨 그리 큰 죄였기에, 그는 아들을 살리기 위해서 석달에 한번 팔아야 하는 피를 사나흘에 한번씩 팔면서 아들의 치료비를 마련하다가 결국 쇼크로 쓰러지기까지 한다. 하지만 그동안의 자신의 일은 잊은 채, 아들인 일락이 살아있음을 보고는 기쁨의 눈물을 흘렸던 것도 바로 그였다.
물을 많이 마시면 피가 묽어져서 더 많은 양의 피를 뽑을 수 있다고 들은 허삼관은 피를 뽑기전에는 물을 엄청나게 많이 먹고는 피를 뽑는다. 그에게 피를 뽑는 방법을 알려줬던 방씨와 근룡이. 물을 너무 많이 먹어서 오줌보가 터져버려 병신이 되어버린 방씨. 그리고 피를 뽑은 뒤 뇌일혈로 죽어버린 방씨. 그들의 모습을 보아왔기에 피를 뽑는 다는 것에 두려움을 느꼈을지도 모르는 허삼관. 하지만 그는 벼랑끝에 몰려있었고, 그에겐 아무런 재주도, 능력도 없었다. 오직 피를 팔아서 돈을 마련하는 것 뿐.
책의 초,중반에는 허삼관네 식구들의 이야기가 흥미롭게 진행되어 있었고, (일락이가 허삼관이 아들이 아니라 그의 부인인 허옥란이 결혼하기전에 강간당해서 밴 아이라는 이야기. 그리고 그에 허삼관이 임분방을 문병갔다가 그녀를 강간(?)하게 되는 이야기 등등.)후반으로 갈 수록 큰 아들인 일락을 살리기 위해서 자신의 몸을 생각하지 않고 피를 파는 허삼관의 모습이 그려져있어서, 극적 대비가 비교적 선명했다랄까?
여튼 부모의 사랑. 그리고 가난의 슬픔 등에 대해서 다시금 느낄 수 있었던 책이었다. 중국 작가의 책이었지만, 우리나라의 정서에도 충분히 통할 수 있었던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