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슷한 것은 가짜다 - 연암 박지원의 예술론과 산문미학
정민 지음 / 태학사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표지에도 쓰여져있는 것처럼 연암 박지원의 산문을 통해서 그의 예술론과 인식론, 인생론 등을 정리한 것이다. 지난번에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에서 만나본 연암에게 호감을 품고, 원래 인문서적은 그다지 읽지 않지만 큰 마음을 먹고 집어 들었다.
 이 책에서 지은이는 연암의 산문을 예로 들면서 그가 어떤 사람이었는가를 보여줬다. 책을 읽으면서 왜 책의 제목이 '비슷한 것은 가짜다'일까라고 궁금해했는데, 읽다보니까 연암이 한 말 중에 그런 이야기가 있었다. 정확한 대화는 책을 반납해 버린 관계로 그저 대략의 요점을 얘기해보면, "비슷한 것은 원래의 것과 다르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하는 말이다. 그러므로 비슷한 것은 같지 않음이고, 그것은 비슷하긴 하지만 원래의 것과는 다른 가짜라는 것이다. "라는 것이 그의 말이다. 알다시피 연암은 그 당시로써는 파격적인 문체를 사용하여 문체반정을 일으킨 정조로부터 반성문을 쓰는 벌을 받게 된다. 하지만 그는 옛 것과 비슷한 문체는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는 목숨을 건지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혹은 왕의 명령을 거스리기는 힘들었을테니) 반성문을 쓰긴 했지만, 그는 기본적으로 문장이란 옛 것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 아닌 옛 것을 바탕으로 두되, 새로운 것을 가미하여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즉, 법고창신의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법고창신은 온고지신과 비슷한 의미) 이 책에서 연암은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각각의 이야기마다 연암은 마치 다양한 역할을 맡은 배우처럼 다양한 모습으로 드러난다. 그래서 연암이 더 매력적인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