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의 아이 - 하 영원의 아이
덴도 아라타 지음, 김소연 옮김 / 북스피어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좋은 작품임에도 뭔가 맞지 않아 독자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절판되버리고 마는 책들이 있다. 그렇게 사라진 책 중에는 소리소문 없이 간혹 헌책방에서나 만날 수 있는 책도 있지만, 절판된 후에야 입소문을 타고 꾸준히 재발간 희망 리스트에 오르는 책도 있다. 일본문학 작품에 있어서 그렇게 많은 이들을 애태운 작품은 '관 시리즈'와 이 작품 <영원의 아이> 정도가 있지 않을까 싶다. 나 또한 <붕대클럽> <고독의 노랫소리>와 <애도하는 사람>을 읽으며 언제쯤 <영원의 아이>를 만날 수 있을까 오매불망 기다려왔다. 기존에 살림에서 출간되었을 때는 3권 분량으로 출간되었던 책이 북스피어에서는 2권의 두툼한(!) 책으로 묶여 나왔다. <영원의 아이>를 읽은 근 일주일. 출퇴근하며 읽으라 어깨도, 손목도 고생했지만, 무엇보다 세 아이들의 아픔과 인생에 가슴이 무거워졌다.

  17년 전 저마다의 사정을 품고 후타미 소아 병원에 모인 아이들. '동물원'답게 저마다의 상처를 드러내주는 동물의 이름으로 서로를 대하지만, 마음 한 켠에서는 구원이라는 실낱 같은 희망을 품으며 살아간다. 누구보다 아이들을 사회의 악으로부터 보호해줘야 하는 부모에 의해 학대를 당한 아이들. 누군가는 그 때문에 어둠을 두려워하고, 누군가는 그 때문에 자신이 더럽고 냄새나는 존재라고 생각하며, 누군가는 온 몸에 담뱃자국을 숨긴 채 살아간다. 자신을 위해주는 사람도, 자신을 보호해주는 사람도 없이 스스로를 보호하고 스스로를 지켜야만 했던 아이들. 후타미 소아 병원에서 만난 구사카 유키, 나가세 쇼이치로, 아리사와 료헤이는 그렇게 의지할 곳 없는 상황 속에서 서로에게 의지하며 누군가를 '죽임'으로써 스스로를 구원하려 한다. 그리고 그 사건이 있고 17년 뒤. 간호사, 변호사, 형사로 성장한 이 세 사람은 우연한 기회에 다시 인연이 닿는다. 여전히 17년 전 과거의 기억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세 사람. 자기만의 방식으로 세상에 '속죄'하며 애써 자신의 상처를 감추고 살아가던 세 사람의 재회가 이뤄지며 그들이 가까스로 붙잡고 있는 세상은 흔들리고, 다시 그들은 과거에 얽매이게 되는데…. 

  <고독의 노랫소리>에서는 제목 그대로 '고독'에 대해, <애도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삶과 죽음'에 대해, <붕대 클럽>에서는 '상처'에 대해 써내려갔다면 <영원의 아이>는 '아동학대'에 대해 그려낸다. 그동안 접한 텐도 아라타의 책이 성격도, 글의 분위기도 제각각이지만 어떤 주제를 다루고 있다고 해도 기본적으로 상처 받은 이들을 다루는 시선만큼은 따뜻했다. 무참하게 짓밟힌 어린 시절을 보냈지만, 그래도 "살아 남았기 때문에 행복해질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고, 인생에서 의미를 찾아낼 수 있는 기회도 찾아온다고, 열심히 잘해"왔다고 등장인물들을 가슴에 품어주는 듯한 모습에 나 또한 저절로 머리를 쓰다듬어주고 싶은 마음이었다. 모든 폭력이 그렇지만 어른에 비해 저항할 힘이 떨어지는 아이를 상대로 한 폭력은 무참하다. 마치 장난감을 가지고 놀 듯, 마치 제 멋대로 다룰 수 있는 애완동물을 다루듯 아이의 존엄성과 자유를 깡그리 박탈해버리는 부모의 모습에 가슴이 아릿했다. 

  세 사람 뿐만 아니라 <영원의 아이> 속에는 영원히 어른이 되지 못하는, 몸은 어른이 되었지만 마음만은 여전히 어린 시절에 머물러 있는 상처 받은 사람들이 많이 등장한다. 그 때문에 등장인물 한 명 한 명에게 집중하다보면 아무리 햇살이 따사로운 봄날이라 해도 책을 읽는 그 순간만큼은 휑하게 찬바람이 부는 겨울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가야만 하는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갈 수밖에 없는 것. 느리지만 그것이 어른이 되는 것이리라. 내용도 내용이고, 분량도 분량이다보니 중간중간 힘들어졌지만 그럼에도 한번쯤 읽어볼만한, 아니 읽어봐야 할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