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의 육아일기를 읽다 - 단맛 쓴맛 매운맛 더운맛 다 녹인 18년 사랑
김찬웅 엮음 / 글항아리 / 2008년 4월
절판


내가 늙어서 손자가 없다는 것을 늘 걱정해주었는데 소식을 듣고는 기뻐하며 너무 귀하게 여기지 말라고 한 것이니 그 뜻이 참으로 아름답다. 어린아이를 감싸고 아끼는 데 있어 비단과 구슬로 옷을 곱게 꾸미고, 여러 가지로 사치스럽고 화려하게 하여 아이의 복을 해치는 일이 많다. 사랑하는 마음이 크고 무거우면 조물주가 시기해서 제대로 키우지 못하는 수도 있기 때문에 경계하라고 이른 것이다. -75쪽

아이 기르는 일을 반드시 기록으로 남길 필요는 없지만 내가 그리 하는 것은 특별히 다른 할 일이 없기 때문이다. 나이 들어 귀양살이를 하는데 벗할 동료가 줄어들었고, 살아갈 뚜렷한 방도가 없어 생산적인 일을 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아내는 다시 고향으로 돌아가 혼자 외롭게 지내는 처지였다. 날이 저물 때까지 손자의 재롱을 보는 것이 유일한 기쁨이었다. 한가롭게 편지를 펼쳐 읽으면서 그 위에 고을을 다스리는 조희 군과 귀양을 간 조카 이염, 귀양을 온 벗 유감 등이 써서 보내온 차운시를 붙여 훗날 즐길 거리를 만들어놓았다. 아울러 습좌習坐, 생치生齒, 포복匍匐 등의 짧은 글을 적어 그리워하고 연모하는 뜻을 덧붙였다. 손자가 커서 이 글을 보게 된다면 문자에 나타나 있는 할아버지의 마음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92~3쪽

"네가 전염병을 앓는 것은 사뭇 험한 액운이다. 불길하고 위태로운 상황이 한 달 남짓 계속되어 내 몸이 대신 아프기를 바랐었다. 다행히 여러 차례 죽을 고비를 넘기고 살아났으니 얼마나 고마운지 모르겠다."
어머니의 말씀을 듣고 매번 스스로 마음 아파했는데 부모님의 은혜 어찌 갚을까. 하늘같은 어머님 은혜 크고 넓다는 것을 손자를 키워보니 모두 다 알겠다. 내 몸을 위하려고 애쓰지 않는 것은 마음속의 생각이 본래 곧기 때문이다. 날마다 다른 병에 걸리지 않기를 바라노니 네 자신이 잘 자라서 마침내 군자가 되어 덕망 있는 훌륭한 가문을 이루게 되면 당연히 아름다움 누리고 쇠퇴해가는 가문의 계통을 밝게 이을 수 있을 것이다. -121쪽

자세히, 천천히 깨우쳐주는 것이 당연한 일이다. 성급하게 다그친다고 무슨 이득이 있겠는가. 때때로 나의 잘못을 뉘우치지만 가끔 같은 실수를 되풀이한다. -133쪽

아이를 때리는 것은 내가 모질어서가 아니다
아이의 나쁜 버릇을 바로잡기 위해서다
잘못된 행동을 하는 것을 그대로 내버려둔다면
버릇이 들어 끝내는 고치기 어려울 것이다
몸에 익으려는 바로 그 순간
꾸짖고 야단쳐서 바로잡아야 한다
내가 성내며 회초리를 든 이유는
벌을 주어 화를 잘 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이가 가엾다고 오냐오냐 한다면
모든 일을 자기 하고 싶은 대로 할 것이다-161쪽

네 자신이 그 마음을 잘 간직하고 있으면 조상님들이 복을 내릴지 어찌 알겠는가. 모든 일이 막힘없이 잘되어가는 것은 운명에 달려 있고 많은 재산과 높은 지위는 얻기 어렵다. 마음을 갈고닦아 덕을 갖추면 모든 행동에 잘못이 없을 것이다. 나이와 신분이 비슷한 사람 중에서 우뚝 서고 빼어나게 되어 행여 할아비처럼 사람들을 멀리하거나 거칠게 대하지 마라. 사내로 태어난 것은 매우 중대한 일이고 지금 사는 세상은 다시 만나기 어려우니 꾸준히 나아가고 날마다 깊이 살피며 한순간도 헛된 것에 힘쓰지 마라. 부디 내 바람이 당연한 것이라 생각된다면 항상 돌이켜보면서 오래도록 본받아라. -16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