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원의 고전강의 공산당 선언 - 젊은 세대를 위한 마르크스 입문서
강유원 지음, 정훈이 그림 / 뿌리와이파리 / 2006년 5월
절판


교양강좌의 목적은 학문의 기초체력을 기르는 데 있다. 그 기초체력은 책을 진지하게 읽는 자세, 모르는 것을 모른다 하고 아는 것을 안다고 말하는 태도, 자신이 가지고 있던 지식이 편협한 것이었음을 깨닫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호기심 등이다. -16쪽

간단히 정리하면 당시에 '사회주의'는 세력도 보잘것없었고, 자본과 이윤이라는 몸통은 건드리지 않은 채 온갖 종류의 미봉책만 내놓는 사람들을 가리켰다는 말이다. 반대로 공산주의는 정치적인 해결책 말고도 근본적인 사회개조를 요구했다는 것이다. 근본적인 사회개조란 달리 말해서 자본과 이윤에 해를 끼치는 것이다. 이걸 봐도 알 수 있듯이 『선언』은 당시의 시대상황을 굉장히 고려하고 있으며, 동시에 용어도 꽤나 정치적으로 골라 쓴 문서다. -75쪽

취직 공부해서 어렵게 입사한 회사에서 직장의료보험증 받으면 기분이 무척이나 좋을 것이다. 회사를 위해 열심히 일해서 자아를 실현하리라는 결심을 굳게 하는 사람도 꽤 될 것이다. 직장생활 2, 3년 된 사람중에는 일밖에 모르고 사는 사람들이 무척 많다. 비난하는 게 아니다. 얼마나 뿌듯한가 말이다. 그러나 알고 보면 그게 자기 것이 아니다. 그저 자기는 관계 속에 들어간 것일 뿐이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어떤 관계 속에 들어가 있느냐다.
인간은 사회적 존재다. 이 말도 풀어보면 인간은 사회적 관계 속에 들어가 있는 존재라는 뜻이다. 그 관계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는 사람은 없다. 따라서 사태를 분석할 때도 자신이 속한 관계로부터 파악해야 한다. 일단 여기까지 왔다. 관계가 중요하다는 말이다. 세상에 관계는 수없이 많을 것이다. 애매한 관계, 썩 안 좋은 관계, 뭐 이런 것들이 다 관계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가 따져보려는 것은 두 종류의 관계다.-82~3쪽

여기서 혁명은 때려 엎는다는 의미가 아니다. 계속되는 혁신과 변화를 가리킨다. 그 혁신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일어난다. 먼저 생산도구들을 바꾼다. 공장에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되었다면 이건 생산도구가 바뀐 것이다. 그에 따라 그 도구를 가지고 일하는 사람들이 바뀐다. 사람만 바뀌는 것이 아니라 조직도 변한다. 이건 생산관계가 바뀌는 것이다. 생산관계가 바뀌면 사회관계 전반이 바뀌게 된다. -124쪽

성장을 하려면 혁신을 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혁신을 자주 하다 보면 결국에는 사람을 잘라내는 일이 생겨난다. 자본주의 체제는 그런 까닭에 기술적으로 몹시 역동적인 체제다. 거듭 말하지만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부르주아 계급의 궁극 목적은 이윤 창출에 있다. 마르크스의 관점에서 이윤의 원천은 살아 있는 노동에 있다. 이런 노동의 생산성이 높아지면 이윤도 높아질 것이다.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면 노동 생산성도 높아질 것이다. 그런데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다 보면 노동이 불필요한 때가 생기게 된다. 기술적 역동성이 노동과 불가피하게 부딪치는 시점이 생긴다는 말이다. 노동의 생산성이 올라가야만 이윤이 증가하니까, 노동 생산성 향상을 위해 기술 혁신을 했는데 어느 시점에 오면 살아 있는 노동자를 쫓아내게 된다. 성장과 기술적 진보가 서로 적대관계에 놓이게 된다. 일상적 차원에서 이야기하면 기술이 발전해서 회사일이 편해진다지만 그러다가 사람이 잘려나가는 일도 생겨난다는 것이다.-125~7쪽

자본주의 시스템에 대한 가장 커다란 환상 중의 하나가 그 체제는 자유경쟁이며, 그에 따라 공정한 기회를 보장하는 효율적 체제라는 것이다. -145쪽

마르크스는 우리에게 어떤 메시지를 주고자 하는가. 자본주의 사회가 어떤 원리에 따라 움지여지는지 곰곰이 따져보니 사람들의 종교, 신념 등을 떠나 사회의 물질적 관계가 사람을 규정하는 사회로 되어버렸더라는 것이다. 이게 자본주의가 가져온 혁명적 변화다. 그런데 이게 사람이 살만한 곳이 못 된다는 것이다. 날마다 회사에 출근해서 머릿속까지 완전히 착취당하고 파김치처럼 되어 돌아와 간신히 몸을 추스리고 다시 출근하는 것이 사람 사는 꼴은 아니라는 것이다. 돈 중심의 사회적 관계를 폐기해야만 사람이 본래 가지고 있는 완전한 의미에서의 인간성을 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세 신분사회에서 벗어나 자기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든 지 얼마 되지 않아 돈의 노예가 되는 사회가 되고 말았다는 것이다. 마르크스는 이러한 통찰을 바탕으로 어떤 사회를 만들어야 인간이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 점이 『공산당선언』을 읽는 이유다.-183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후애(厚愛) 2010-10-24 05: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행복한 주말 되세요~ ^^

이매지 2010-10-24 18:42   좋아요 0 | URL
후애님도 행복한 주말 보내셨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