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교
박범신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흔 노인의 열일곱 소녀에 대한 사랑이라는 간략한 내용만 보고 어쩐지 <롤리타>가 생각나 머뭇거렸던 작품이었다. 어떤 이들은 이 소설을 변태적이라 했고, 어떤 이들은 이 작품을 관능적이라 했다. 무엇이 이 작품을 읽는 독자를 그리도 혼란스럽게 만든 것인가, 무엇이 2010년 박범신만이 쓸 수 있는 소설이라 평하는 것인가, 복잡한 마음으로 어느 늦은 밤 이 책을 읽어내려가기 시작했다. 

  내가 책을 읽기 전 들었던 간략한 스토리처럼 이 책엔 일흔 노인인 시인 이적요와 열일곱 고딩 한은교가 등장한다. 그리고 또 한 사람. 이적요의 밑에서 그의 온갖 잡일을 처리해주는 베스트셀러 작가 서지우가 있다. 아버지와 아들, 손녀의 관계라 해도 무색하지 않을 세월을 사이에 둔 이 세 사람은 가족 같은 분위기가 아닌 가족을 가장한 묘한 삼각관계를 이룬다. 이적요 시인이 세상을 떠난 뒤 1년 뒤 고인의 유언에 따라 세상에 공개될 한 권의 노트. 모든 이야기는 거기서부터 시작된다. 서지우를 죽인 사람이 자신이었음을, 서지우의 이름으로 발표한 소설이 사실은 이적요의 작품이었음을, 세상 사람들이 추악하다고, 변태같다고 손가락질 해도 은교를 사랑했음을 이적요는 낱낱이 밝힌다. 그리고 그 모든 이야기를 읽어내려간 변호사의 느낌처럼 이 이야기는 너무나 '관능적'이다. 

  욕망, 혹은 갈망. 그것이 무엇이 되었던 간에 <은교>는 본능에 가깝다. 하지만 어떻게든 은교를 쓰러뜨리려는 그런 본능이 아닌, 오히려 젊음을 통해 생존하고자 하는 어떤 의지처럼 느껴졌다. 은교를 자신의 첫사랑, 자신의 딸, 자신의 엄마, 자신의 연인으로 받아들이는 이적요. 하지만 은교는 이적요의 '그 무엇'이 아닌 그냥 여느 여고생 같지만 조금은 당돌한 것 같기도 하고 깊은 눈매를 가진 한은교였기에 그 자체로 아름다웠다. 그녀를 그토록 아름답게 해준 것은 '젊음'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삶과 죽음. 그 사이에 서서 마치 세이렌처럼 이적요와 서지우를 흔들어놓는 은교. 그녀는 잡을 수 없기에 더 애틋한, 그리고 베일에 싸여 있을 수 있었던 존재가 아니었나 싶었다.

  밤에만 썼으니 밤에만 읽어달라는 작가의 부탁의 말이 있었지만, 어쩌면 좀더 본능적인, 좀더 관능적인 밤이야 말로 <은교>에 어울리는 시간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벌겆 대낮에 만나는 은교도, 그리고 그들의 욕망도 우리 안에 있는 것이기에 부끄럽지는 않으리. 시인 이적요가 남긴 글인만큼 때로는 시의 호흡으로 이야기를 이끌어가고, 때로는 현미경으로 관찰하듯이 세밀하게 묘사하기도 하며, 완급을 조절하는 소설. 무엇보다 작가의 노련함을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인간의 욕망, 그리고 채울 수 없는 갈증. 책을 덮고 어쩐지 따블이 되어서 다시 <은교>를 읽는다면 어떤 느낌이 들까라는 궁금증이 들었다. 그때까지 내 마음속 영원한 젊은 신부, 은교여 잠시 안녕.

댓글(9)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09-13 05: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13 10: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20 06: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13 11: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13 13: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14 11:5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14 13: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17 11: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17 11:4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