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얀 토끼가 도망친다 미도리의 책장 1
아리스가와 아리스 지음, 김선영 옮김 / 시작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최근 '미도리의 책장'에 약간 관심이 생겨서 시리즈 첫 권인 아리스가와 아리스의 <하얀 토끼가 도망친다>를 골랐다. 사실 <월광게임>은 뭐 추리소설을 가장한 청춘소설이라는 느낌이었지만, <외딴섬 퍼즐>은 그나마 괜찮구나 싶었기에 <하얀 토끼가 도망친다>는 어쩐지 시큰둥하게 읽어갔다. 총 4개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개인적인 평으로는 뒤로 갈수록 괜찮은 작품이라 초반에 그만두지 않아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슬며시 들었다. 

  '학생 아리스 시리즈'에서는 에가미 선배가 탐정으로 등장한다면, '작가 아리스 시리즈'는 임상범죄학자인 히무라 교수가 탐정으로 등장한다. 경찰의 요청에 히무라와 아리스가 참여한다는 설정으로, 아리스는 그저 추리소설 작가다운 엉뚱한 발상을 던지거나 사건을 기록하는 역할 정도를 담당하고 있다. 학생 아리스 시리즈의 에가미 선배는 어딘가 인간미가 없어서 아쉬웠다면, 히무라는 아직 시리즈의 초반이라 그런지 캐릭터가 제대로 구현되지 않은 것 같아 아쉬웠다. 하지만 작품 자체만 보면 강력한 한 방은 없어도 소박한 잔재미가 있어서 나름 재미있게 읽었다. 

  한 여자를 놓고 삼각관계에 빠진 사이가 좋지 않은 쌍둥이 형제의 이야기를 다룬 <부재의 증명>은 쌍둥이가 등장한다는 설정에서 떠올릴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트릭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만고만했다. 이어지는 <지하실의 처형>은 한 테러집단에 잡혀간 형사가 살인을 목격하는 이야기로, 설정 자체는 나쁘지 않았지만 어딘가 긴장감이 떨어져서 아쉬웠다. <X의 비극>을 언급하는 <비할 바 없이 성스러운 순간>은 그나마 엘러리 퀸의 팬이나 다잉 메시지에 관심이 있는 이들에게는 매력적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 또한 이 단편을 읽으며 다잉 메시지의 본질(?)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었다. 가장 마음에 들었던 표제작 <하얀 토끼가 도망친다>는 분량이나 내용 모두 만족스러웠다. 하얀 토끼를 닮은 극단 여배우가 스토킹을 당하는데, 그녀가 잠시 도망쳐 있는 사이에 스토커가 살해당한다는 설정. 여배우과 스토커를 토끼와 거북이에 비유하는 것도 재미있었지만, 복잡하기 그지 없는 시간표 트릭도 흥미로웠다. (물론 시간표 트릭은 항상 100프로 이해하기엔 머리가 지끈하지만)

  셜록과 왓슨의 구도를 따르고 있지만, 셜록 쪽인 히무라도, 왓슨 쪽인 아리스도 아직은 2% 부족한 느낌이 들었다. 앞으로 시리즈가 계속되면서 어느 정도 자리를 잡으면 매력을 느낄 수 있을라나, 아니면 장편이 더 매력적이려나. 어쨌거나, 이래저래 아쉬움은 들었지만 신본격 미스터리를 좋아하는 독자들에게는 나름의 재미를 안겨줄 듯 싶었다. 그나저나, 책을 읽고 나니 어쩐지 <X의 비극>이 다시 읽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