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가슴에 해마가 산다 ㅣ 보름달문고 23
김려령 지음, 노석미 그림 / 문학동네 / 2007년 10월
평점 :
짧은 동화책 한 권 볼 정도의 어정쩡한 시간이 있어서 둘러보다가 읽게 된 책이다. 최근에 읽은 문학동네 어린이 문학상 수상작인 <책과 노니는 집>이 재미있어서 이전에 나온 수상작들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완득이>를 읽으려고 쟁겨놓았던지라 김려령 작가의 <완득이> 이전의 이야기는 어떤게 있었을까라는 궁금증도 있었기에 이 책을 고르게 됐다.
정신과 의사이자 청소년문제 전문가, 그리고 국내입양단체의 홍보대사인 엄마 아빠의 딸 하늘이. 공개입양된 하늘이는 타인에게 잘 살고 있는 모습을 확인받고 싶어하는 엄마때문에 몇 번이나 언론에서 행복한 척 꾸며진 삶을 살고 있다. 학대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친부모처럼 감정을 부데끼며 살지 않기에 하늘이네 가족은 겉으로 보기엔 행복해보일지 몰라도 사실 자신의 자리에 있지 않은 듯 겉도는 느낌이 감돈다. 그렇게 서로에게 일정한 거리를 두며 살아가던 무늬만 가족인 하늘이네 가족이 조금씩 가슴을 열고 서로 자신의 의견을 소통하며 진짜 행복한 가족으로 한 걸음 다가선다.
연예인들의 잇단 입양으로 일반 대중에게도 입양은 그리 낯선 개념이 아니다. 하지만 이 책은 대중에게 '이러이러하니 입양은 꼭 나쁜 것은 아니다'라고 입양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완화시키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입양의 그림자, 그러니까 공개 입양을 통해서 '가슴으로 낳은 자식' 운운하는 것에 상처를 받는 아이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아이들은 상처받기 쉽다. 작은 말 하나에도, 작은 행동 하나에도 아이들은 상처받는다. 이 책 속에서도 하늘이는 자기는 덜렁거리지 않는데, 툭하면 다른 사람들에게 '덜렁거린다'고 얘기하거나, 다른 사람 앞에서의 행동과 실제 행동이 다른 엄마에게 불만을 갖는다. 하지만 하늘이는 그 불만을 꼭꼭 자신의 속에 감추어놓는다. 차라리 자신에게 서슴없이 대해주는 할머니에게 자신의 속마음을 터놓으며 티격태격 살아간다. 어릴 적 수술을 했을 정도로 건강이 좋지 않은 하늘이가 혹시나 아프지 않을까 말 하나 행동 하나에도 너무 신경쓰는 엄마와 아빠보다는 하고 싶은 말을 툭툭 내뱉어도 그 속에 따뜻한 정이 있는 할머니에게 하늘이가 마음을 연 것은 너무 당연한 일이 아닐까?
넓은 집에서 살아가지만 하늘이는 항상 자기 방에서 혼자 종이 집을 만든다. 정을 붙이고 살 자신의 세계를 만드는 하늘이. 하지만 그 마을은 엄마때문에 금이 간다. 하늘이가 자신을 엄마로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분노하는 엄마. 하지만 하늘이가 만든 자신만의 세계에 금이 가며, 엄마가 그동안 눌러왔던 감정을 표출하며 하늘이네 가족은 더 단단해진다. 그들만의 세계에 금이 가서 무너지는 것이 아니라 그 금을 가족이라는 끈끈한 접착제로 막아버린 것이다. 작가는 이 과정을 엄마가 서툰 솜씨로 하늘이가 만든 집을 고친다는 것으로 표현한다. 조금은 쑥쓰럽지만, 실수투성이지만 그래도 따뜻하게 받아들여줄 수 있는 것은 역시 가족의 힘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것이 피가 이어진 것이든 아니든 간에.
입양에 대한 사회적 시선이 많이 좋아지긴 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입양아에게 자신이 입양됐다는 사실은 달갑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 속의 주인공 하늘이도, 그리고 또다른 입양아인 한강이도 저마다 입양아라는 꼬리표때문에 알게 모르게 타인의 편견어린 시선을 받게 된다. 하지만 사회적인 시선도 시선이지만, 자기정체성을 찾는 문제에 있어서 더 큰 문제가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들었다. '나'를 세우는 과정, 한 가족공동체 안에서 자신의 위치를 다지는 것 등 입양아들의 그것은 평범한 아이들보다 더 깊은 고민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가족에 대한 것, 사춘기에 대한 것, 입양에 대한 것 등 성장소설(혹은 청소년 소설)의 주된 소재를 너무 지루하지 않게 풀어간 것 같았다. 몇몇 부분에서는 아쉬운 점도 있었지만 그래도 김려령 작가의 실력은 느낄 수 있었던 작품이었다. 곧 읽게 될 <완득이>와 다른 문학동네 어린이 문학상 수상작도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