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8 - 중종실록, 조광조 죽고... 개혁도 죽다!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8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연산의 폭정에 고통을 받았던 사대부와 백성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시작된 중종의 재위는 참 길고도 별 특색없이 진행된다. 당연한 목표이지만 중종과 공신들은 연산 이전의 복귀를 지향한다. 하지만 반정의 주역들이 연산 시절에 누릴 것을 다 누렸던 인물들이었기 때문에 연산의 협력자들에 대한 청산 작업은 미미했고 또 다른 반정을 막기 위해 개나 소나 공신으로 책봉하며 포섭하는 모습을 보인다. 바로 이 부분이 중종의 재위 기간 내내 발목을 잡는 문제로 남고 만다. 공신 문제를 지렛대 삼아 심지어는 권력이 대간에 있다는 불만이 나올 정도로 성장하는 대간과 공신의 확대로 국가 재정이 궁핍해지는 등 중종은 내외적으로 다양한 불씨를 품고 그저 성실히 일하기만 한다.

  조선 초에는 정도전이 있었다면 중기에는 조광조가 있었다라는 생각이 들었을 정도로 중종 때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조광조다. 사색을 통한 원리 탐구, 경학 위주의 공부, 근본을 앞세우는 원칙적인 자세 등 전형적인 유학자의 모습을 보이는 조광조. 그는 중종의 신임을 등에 업고 개혁을 단행한다. 하지만 공신세력의 불만과 중종의 태도 변화로 인해 기묘사화를 통해 제거되고 결국 개혁은 수포로 돌아간다. 이후 유생들은 학문에 힘쓰지 않게 되고, 대간은 건강성을 상실하게 됐으며 일부 대간에게 힘이 쏠려 점차 권신화되는 병폐가 생겨난다. 조광조 이후에는 김안로에게 힘을 몰아주는데 김안로는 과거에 자신의 복귀를 반대했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이는 경빈 박씨의 잔당이라 몰아 붙여 제거해버리니 조정은 왕보다 김안로에게 굽실거리기 일쑤고, 수많은 겸직을 통하여 인사나 정책 결정에 관해서는 사소한 것까지 그의 사전 허락을 거칠 정도로 왕 이상의 권력을 누린다. 물론 그도 이후 조광조처럼 중종의 변심으로 숙청되지만 말이다. 

  조광조와 김안로의 경우로 미뤄볼 때 중종은 자신의 왕권을 유지하기 위해 자신을 보호할 도구로 특정 신하를 키운다. 하지만 그 신하의 권력이 너무 커질 때는 늘 여론에 귀 기울이고 온화하며 우유부단했던 성격은 어디갔는지 사라지고 독선적이고 냉혹하며 과감한 모습으로 권력을 교체해버린다. 자신이 연산처럼 언제든 폐출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던 중종은 대부분의 경우에는 대신들의 눈에 나지 않기 위해 조심스럽게 살아왔는데 조광조나 김안로의 힘을 꺾는 순간만큼은 이전과 다른 모습을 보인다. 단순히 자신의 왕위를 지키기 위해 힘 쓰는 것이 아니라 그런 결단력과 계획력을 가지고 일관된 원칙으로 장기적으로 자신이 나아갈 길에 대해 생각했더라면이라는 아쉬움이 남았다. 그랬다면 39년이라는 긴 재위기간동안 그저 제자리 뛰기만 한 것이 아니라 앞으로 착착 나아갈 수 있었을텐데...
 
  이전에도 그랬지만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을 읽으며 역사는 되풀이된다는 말이 몇 번이나 떠올랐다. 특히 과거 세력의 청산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유야무야 시간을 흘려보내고 결국 그 문제가 꼬투리로 남게 되는 것이 일제 이후 제대로 된 청산을 하지 못해 두고두고 문제가 되는 것과 비슷하게 느껴졌고, 경빈 박씨를 핑계 삼아 반대파를 제거하는 모습을 보면서는 빨갱이 논쟁이 새삼 떠올랐다. 그 외에도 왕보다 더 실세로 자리잡는 신하의 모습이나 정치인들의 싸움에 시달리는 백성들의 모습 등이 마냥 과거의 일 같이 느껴지지 않았다. 아. 그리고 책의 끝부분에 장금이가 잠깐 소개되는데 실록에는 고작 10줄 내외로 쓰여있었던 인물을 하나의 캐릭터로 살려내 드라마로 만들어냈다는 사실이 마냥 신기하게 느껴졌다. 이런 저런 사건은 많았지만 자신만의 특색을 살리지 못한 채 신하들에게 휘둘렸던 중종. 그의 왕으로서의 이념의 부재가 안타까웠던 8권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