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 불임 클리닉의 부활
가이도 다케루 지음, 김소연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이전에 <바티스타 수술 팀의 영광>을 비롯한 다구치 시리즈로 알게 된 가이도 다케루의 소설. 다구치 시리즈를 제외하고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작품인 셈인데 이번에도 의료 미스터리를 다루고 있다. 다구치 시리즈보다 뭔가 긴장감을 떨어졌지만, 전해주는 메시지만큼은 묵직하게 다가온 작품. 

  데이카 대학의 조교로 근무하고 있는 일명 얼음 마녀 소네자키 리에. 의국 내에서는 말단이라 힘이 없지만, 현행 의료 체제의 모순에 대한 반감과 개혁 의지을 갖고 있고, 주 2회 마리아 클리닉에 가서 진료를 하며 지역 의료의 실태를 누구보다 잘 파악하고 있다. 겉으로 보기엔 청초해보이지만 속내는 갑옷을 입은 잔다르크보다도 강인한 리에. 그녀는 이런 저런 사정으로 문을 닫게 될 마리아 클리닉의 마지막 임부 다섯 명을 담당한다. 저마다의 사연을 가진 임부들. 1월부터 10월까지 임부들의 경과와 함께 리에와 마리아 클리닉의 운명의 수레바퀴는 돌기 시작하는데...

  이 책은 일본에서 있었던 산부인과 의사가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체포된 사건을 모티브로 삼고 있다.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했지만 결과가 좋지 않다는 이유로 포승줄에 묵힌 채 체포된 산부인과 의사. 하지만 책을 읽다보면 의사의 능력 부족이 아니라 그를 뒷받침하는 제도가 문제가 있음을 알게 된다. 현장과 동떨어진 정책. 터무니없이 부족한 의사의 수. 이런 것들이 악순환을 이뤄 벌어진 것이 바로 자신의 임무를 다했지만 체포된 산부인과 의사였던 것이다. 하지만 남의 나라 이야기라고 치부해버리기엔 우리나라의 산부인과의 실정도 별반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산부인과 전공의에 지원하는 수가 저조한 것은 물론이고, 동네 산부인과가 몇 군데나 되더라도 정작 출산을 할 수 있는 산부인과는 드물다. 집 근처에 출산을 할 수 있는 산부인과를 찾는 임부들의 글도 몇 번이나 보아왔기에 언젠가 아이를 낳게 될 내게 이 책 속에 실린 산부인과의 실태가 남의 일 같지 않았다. 

  다구치 시리즈처럼 뭔가 유머가 있고 미스터리를 풀어가는 의료 미스터리를 기대한 독자에게 이 책은 굉장히 실망스럽다. 분명 뭔가 수수께끼도 가지고 있고, 리에가 대체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인지도 궁금하고, 대리모 문제나 지역 의료의 붕괴 등 이 책이 전하는 메시지도 잘 알겠지만 그 전에 전개 방식이 지루했다. 다구치 시리즈의 경우에는 며칠동안 일어나는 일을 다루기 때문에 뭔가 사건이 연장선 상에 놓인 것 같다면 이 책은 1월부터 10월까지의 긴 시간을 비교적 짧은 분량에 다루고 있기 때문에 이야기가 띄엄띄엄 진행되서 단편적으로 이어지는 느낌이 들어서 아쉬웠다. 가이도 다케루의 작품을 좋아하는 독자나 의료 실태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한 번쯤 읽어볼만한 가치가 있지만 뭔가 의료 미스터리를 기대하고 읽는다면 아쉬움이 남을 것 같은 작품. 메시지는 각인됐지만 정작 스토리는 큰 임팩트를 남기지 못한 것 같다. 가이도 다케루는 이번이 4번째 접한 건데 <바티스타->나 <제너럴 주루->의 경우에는 재미있었지만 <나이팅게일->과 이 작품은 지지부진했다. 아무래도 작품 간 편차가 좀 있는 듯한 작가라는 생각이 이 책을 통해 다시 들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푸른신기루 2008-11-02 19: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바티스타~'랑 '제너럴 루주~'는 재밌었는데 그 사이에 읽은 '나이팅게일~'은 그저그랬어요
'제너럴 루주~'는 하룻밤 새 뚝딱할 정도ㅎㅎ

이매지 2008-11-02 21:50   좋아요 0 | URL
나이팅게일보다 이 책이 더해요 -_-;;
저도 제너럴 루주는 하루만에 다 읽어버렸어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