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너럴 루주의 개선 가이도 다케루의 메디컬 엔터테인먼트 3
가이도 다케루 지음, 권일영 옮김 / 예담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얼마 전에 읽었던 <나이팅게일의 침묵>이 생각보다 재미가 없어서 그 사건과 동 시간대를 다루고 있다는 <제너럴 루주의 개선>도 영 땡기지 않았다. 하지만 '이왕이면 <나이팅게일의 침묵>의 기억이 사라지기 전에 읽으면 조금이라도 더 재미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으로 읽기 시작한 책은 술술 페이지가 넘어가 어느덧 마지막에 이르렀다. <나이팅게일의 침묵>의 지루하고 비약적인 전개에 비하면 한층 더 긴장감도 있고, 캐릭터들도 매력이 있었던 작품이었다. 
 
  어느 날 다구치가 맡고 있는 리스크 매니지먼트 위원회에게 구명구급센터의 하야미가 리베이트를 받고 있다는 고발이 들어온다. 고발에 대한 문제는 리스크 매니지먼트 위원회의 소관이 아니었기에 에식스 커미티에 문의해 결국 모든 일을 떠맡게 된 다구치. 결국 자신의 손으로 오랜 친구인 하야미를 조사하고 처분까지 맡게되는 상황에 이르는데... 과연 다구치는 하야미를 무사히 구해낼 수 있을까?

  보통의 경우라면 리베이트는 자신의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함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이 책소에서 하야미는 자신의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함이 아니라 부족한 적자를 어떻게든 메워보고자, 한 명이라도 환자를 더 살리기 위해 리베이트를 받아 기계를 도입한다. 환자의 상황에 따라 골라서 환자를 받는 것이 아니라 일단 어떤 환자이나 받고 그를 살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실제로도 많은 경우 구해내지만, 한편으로는 신속한 환자 이송을 위해 닥터 헬리의 도입을 예산때문에 번번이 퇴짜맞는 상황 속에서 피투성이 장군 하야미는 묵묵히 환자를 치료한다. 어쩌면 가장 이상적인 의사의 모습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이런 이상적인 모습의 의사가 병원이라는 조직 안에서 자신의 방식대로 살아가는 모습은 퍽 인상깊었다. 또 한 편으로는 병원이 환자를 치료하는 기관이 아닌 하나의 기업으로 이익을 내는 부서만 환대하는 모습이 안타까웠다. 이런 부분은 일본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지만. 

  이번 책에서는 이전에 언급된 바 있는 시라토리의 보좌인 얼음 공주가 직접 등장해 우왕좌왕하는 귀여운(?) 모습도 보여주고, <나이팅게일의 침묵>에서는 큰 비중을 차지했던 가릉빈가나 사요가 잠깐씩 등장해 재미를 더하기도 한다. (그런 면에서는 <나이팅게일의 침묵>을 먼저 읽는 것이 좀 도움이 됐을지도.) 지난 번 <나이팅게일의 침묵>을 읽으며 다구치의 비중이 적어서 불만스러웠는데, <제너럴 루주의 개선>을 읽으며 '뭐 이 정도로 일이 많았다면 자주 못 등장할만하군'이라고 생각될 정도로 불쌍하게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는 다구치의 모습을 실컷 감상할 수 있었다. 앞으로 이어질 다구치 시리즈나 얼음 공주가 등장할 외전도 기대된다. 

  여담이지만 이 책 속에 언급되는 닥터 헬리나 대형 참사로 인해 닥터 헬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모습을 보며 최근 일본에서 방영한 드라마 <코드 블루 - 닥터헬기 긴급구명>이 떠올랐다. (뭐 사실 드라마도 2007년부터 일본에 본격적으로 시작된 닥터 헬기 프로젝트의 홍보 목적도 일부 있었던 것 같지만.) <코드 블루> 역시 구명센터를 배경으로 하고 있고, 닥터 헬기를 타고 현장에 가서 긴급 구조를 하는 플라이트 닥터 지망생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책을 보면서도 드라마에서 보았던 구명센터의 긴급함이 느껴져서 한층 재미있었다. 혹 이 책을 보며 닥터 헬기나 구명 센터에 관심이 생긴 독자가 있다면 한 번쯤 <코드 블루>를 보며 제너럴 루주의 모습을 상상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