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년, 아란타로 가다 ㅣ 나를 찾아가는 징검다리 소설 13
설 흔 지음 / 생각과느낌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맨 처음 이 책의 제목을 봤을 때 가장 먼저 머리를 스치고 지나간 것은 '아란타'가 대체 어디일까라는 점이었다. 대체 소년은 아란타로 떠난 것인지, 아란타에서 무슨 일들을 겪은 것인지 등에 대해 궁금해하면서 책을 폈는데 기대와 어긋나는 전개때문에 살짝 당황도 했지만 전체적으로 청소년용 역사 팩션이라는 점이 신선하게 느껴졌던 책.
이 책의 주인공인 청유는 일찍 부모를 여의고 할아버지와 함께 살아간다. 그런 그에게 꿈이 있다면 아버지의 친구인 이정의 딸인 연희를 색시로 맞아들이는 것. 하지만 떵떵거리며 부산을 주름잡는 이정과 끼니걱정을 해야하는 청유의 격차는 크기만 하다. 이에 청유는 부자가 되기 위해 일본어를 공부하기 시작하고, 대마도에서 인삼을 현지인에게 건내는 것을 조건으로 뒷문으로 조선통신사에 합류하게 된다. 하지만, 일이 꼬일려는지 대마도에서 통신사 일행을 왜인이 살해하는 일이 벌어지고, 그 배후로 인삼이 얽혀있음이 의심된다. 간신히 이언진의 도움을 받아 인삼을 없애고 목숨도 구한 청유. 하지만 이 사건은 시작에 불과했을 뿐인데...
부록으로 실린 조선통신사에 대한 설명처럼 우리나라는 일본에 문화를 전수해주기 위해 몇 번이나 통신사를 보낸다. 이 이야기의 배경이 된 것은 마지막 통신사였던 계미사행. 그 전에는 더 많은 곳들을 갔지만, 이 시기는 정한론의 대두로 통신사를 썩 반기는 분위기가 아니었기에 통신사는 쓰시마, 오사카 등의 몇몇 곳만 방문한다. 하지만 이런 상황 속에서도 여전히 통신사가 도착하는 곳마다 시문을 받겠다고 줄을 서기도 하고, 그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러 오는 등의 모습도 드러난다. '야만적이었지만 문물을 빼어나고, 어수룩해보이지만 실속을 챙기는 데는 빠른 일본' 주인공 청유는 부자가 되기 위해 일본으로 떠났지만, 오히려 그 곳에서 이언진으로부터 이 세상에는 더 많은 문물이 있고, 더 넓은 세계가 있음을 배우게 된다. 하지만 조선은 언제나 제자리에 머물러 있고 빗장을 꼭꼭 걸어 잠근 채 있을 뿐. 자신의 글로 조선의 문을 부수려고 하는 이언진의 노력이 결국 실패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며 청유는 외국의 문물을 배워와 조선의 문을 부수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다.
사실 내가 이 책에서 기대했던 부분은 <리진>이나 <리심>처럼 평범한 조선인이 외국 생활에서 겪는 일들이었다. 하지만 이 책은 그런 부분보다는 조선 통신사라는 소재를 집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전에 봤던 <해유록, 조선 선비 일본을 만나다>보다는 청소년들이 읽기에는 쉬운 느낌이라 조선 통신사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한 번쯤 읽어봐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당시의 사회 현상(예를 들어, 서얼이 천대받는 모습이나 상업이 발달해가는 모습 등)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이 시기를 이해하는 데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었다. 하지만 짧은 분량에 폭넓은 이야기를 담고 있기 때문에 너무 이야기가 짧게 끝나는 느낌이 들어 아쉬웠다. 청유가 아란타로 가겠다고 결심한 부분에 대해서도 다소 설명이 부족한 것 같아서 아쉬웠고. 어쨌거나, 저자인 설흔은 이전에 <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로 처음 만났는데, 두 번째 만남은 다소 아쉽긴 했지만 우리 문화를 다시 살려 현대의 독자들에게 당시의 사회 현상을 쉽게 이해하게 해줬다는 점에서는 좋은 평가를 내릴 수 있을 것 같다. 약간의 아쉬움이 들기는 했지만 가독성이 좋아 금방 읽을 수 있었던 책. 조선의 소년이 어떤 고민을 했는지 엿보며 오늘날 우리의 모습을 비춰보는 것은 어떨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