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긴티 부인의 죽음 애거서 크리스티 미스터리 Agatha Christie Mystery 56
애거서 크리스티 지음, 심윤옥 옮김 / 해문출판사 / 1988년 5월
품절


이곳에서 사귄 첫번째 친구는-지금까지 내가 지녔던 어떤 친구보다도 가장 소중하지-사실, 매우 자주 나를 화나게 했었어. 아니, 지금 내가 그런 걸 생각하고 있는 건가? 천만에. 나는 단지 의심에 가득찬 그의 호기심과, 입을 벌리고 나의 재능-엉터리 이야기를 꾸며대는 것도 아니면서 그를 엉뚱한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재능에 감탄하던 모습, 내겐 줄곧 명확했던 진실을 겨우 감지했을 때의 바보스러우리만큼 당황하고 놀라와하던 모습, 그런 것들만을 기억할 뿐이다. 나의 소중한 친구여! 그것이 나의 결점일세. 과시하고자 하는 욕망, 그것이 언제나 나의 결점이었지. 그 약점을 헤이스팅스는 결코 이해할 수 없으리라. 그러나 사실 재능이 있는 사람들로선 자기 자신을 스스로 인정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러기 위해선 외부로부터의 격려도 필요한 법이다. 정말이지 내가 얼마나 존중을 받을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인지를 음미나 해가면서 하루 온종일 의자에 앉아 있을 수만은 없다. 인간에겐 인간의 손길이 필요한 거야. 사람에겐- 요즘 세상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조역'이란 게 필요하단 말이야. -6~7쪽

'왜' 여자들은 자신의 젊었을 때의 사진을 간직하고 있을까? 그 첫번째 이유는 분명히 허영심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소. 그녀는 아름다운 소녀였고, 자신이 얼마나 아름다운 소녀였는지를 되새겨보기 위해서 자신의 사진을 간직하는 게요. 거울이 그녀에게 불쾌한 사실을 말해 줄 때, 그 사진은 그녀에게 힘을 불어넣어 줍니다. 그녀는 아마도 친구들에게 이렇게 말하겠지. '이것이 열여덟 살 때의 내 모습이야...' 그리고는 한숨을 쉽니다... 아시겠소? (중략) 그러면 두 번째 이유, 그것은 감상입니다. 바로 그 때문에 자신의 사진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사진도 간직하게 되니까 말이오... 이를테면 결혼한 딸의 사진 같은 거... 그 딸이 아이였을 때 튤을 두르고 벽난로 앞의 카펫 위에 앉아있는 사진 말입니다. (중략) 그리고 분명히 '세 번째' 영역도 있다오. 허영심도 감상도 사랑도 아닌- 아마도 '증오심'의 영역일 겝니다. 복수하고자 하는 열망을 생생히 간직하기 위해서 말이오. 당신에게 해를 입힌 누군가가 있습니다- 당신은 그 것을 자신에게 늘 일깨우기 위해 사진을 간직할지 모르지요. 그렇지 않소? -24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