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석제의 이야기 박물지, 유쾌한 발견
성석제 지음 / 하늘연못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성석제의 소설을 읽다보면 왠지 잊고 지냈던 '정'이라는 것을 떠올리면서 왠지 가슴이 따뜻해지는 느낌이 든다. 단순히 기교를 부리고 독특한 소재로 독자의 관심을 끄는 게 아니라 우리가 잊고 지내는 정겨운 고향의 느낌이 드는 것 같다. 그래서인지 왠지 기분이 가라앉아있을 때 성석제의 글들을 읽다보면 왠지 마음 한 켠에서 힘이 불끈 솟아오르는 느낌. 하지만 성석제의 소설이 그렇게 따뜻함을 준다면 산문은 왠지 입담좋은 동네 아저씨와 수다를 떠는 느낌이 든다. 모 인터뷰에서 그가 추천하는 책들을 보고 참 다양하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은 그가 그렇게 여기저기서 보고들은 이야기를 모아놓은 책이다. 

  '이야기의 힘', '관점에 따라 다르다', '오후의 국수 한 그릇', '문자의 예술'. 이렇게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체적으로는 역시 음식 이야기가 가장 많은 것 같았다. 그런 면에서 이전에 나온 <소풍>과 비슷한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소풍>에 비해서 이 책에는 '그랬다카더라'류의 이야기도 많이 등장한다. 작가 스스로도 서문에서 이 책을 '남보다 못한 기억력, 잘 웃고 웃을 만한 기미에 민감한 체질, 타고난 호기심이 어울려 만들어진 결과물'이라고 밝히고 있을 정도로 그냥 술자리에서 주워들을만한 이야기도 제법 담겨있었다. 양장본에 다소 그럴듯한 표지로 포장되어 있었지만 실제로는 그냥 키득키득하면서(아니면 피식이라도) 읽을만한 가벼운 이야기들이었다. 개인적으로는 차라리 속에 있는 일러스트로 표지를 만들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소풍>에서는 일러스트가 꽝이었는데 이 책의 일러스트는 나름대로 귀여운 맛도 있고, 내용과도 어울려서 마음에 들었다.) 단순히 재미있고 독특한 이야기, 잡학을 늘어놓는데서 끝나지 않고 엉뚱하게 삼천포로 빠지는 결론이 있어서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또, 읽으면서 여러번 꿀꺽 꿀꺽 군침도 삼키기도 했으니 아직 이 책을 읽지 않은 독자라면 적어도 3부만은 배고플 때 읽지 않기를. (이 책을 읽고 홍합과 성게알이 먹고 싶어졌다.)

  재미삼아 전화번호부 펼펴보듯이 이 책도 아무 페이지나 펴서 읽어도 성석제 특유의 입담으로 풀어놓는 이야기를 읽으며 재미를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지금도 귀를 쫑긋세우고 새로운 이야기를 모으고 있을 성석제를 좋은 소설로, 좋은 박물지로 만날 수 있길 바래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Kitty 2007-09-20 02: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매지님 추석을 맞이해서 몇 권 지르는-_- 김에 이 책 질렀어요. 잘했죠. ㅋㅋ
좋은 책 소개해주셔서 감사~

이매지 2007-09-20 22:49   좋아요 0 | URL
소풍을 재미있게 읽으셨으면 이 책도 만족스러우실꺼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