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역 한구석에서 글을 모르는 사람들에게 편지를 대필해주며 살고 있는 노처녀 도라. 그녀는 한 때는 선생님이었지만 이제는 먹고살기 위해 그저 글을 쓰고 있을 뿐이다. 그녀가 편지를 쓰는 이유는 글을 모르는 사람을 도와주기 위함도, 어떤 소명을 가지고 하는 것도 아니다. 그저 그녀는 먹고 살기 위해서 그 일을 할 뿐이다. 그리고 그렇게 쓴 편지는 우체국이 아닌 쓰레기통으로 향한다. 많은 사람들의 꿈, 희망, 그리움 등을 그녀는 무참하게 비웃고 쓰레기통으로 보낼 뿐이다. 그녀가 그렇게 편지를 써준 사람 중에는 아나라는 여자의 편지도 있었다. 남편을 기다리는 아나와 그의 아들 조슈에. 그러나 아나는 교통사고로 죽게되고 조슈에는 고아가 되버린다. 어린 조슈에를 도라는 입양기관을 사칭하는 인신매매단에 넘겨버리고 그 돈으로 TV를 구매한다. 하지만 그 기쁨도 잠시 그녀에게 곧 죄책감이 몰려오고 그녀는 조슈에를 우여곡절끝에 다시 구해내 그의 아버지를 찾아주기 위해 먼 여행을 시작한다.

어찌보면 도라는 비뚤어진 삶을 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녀에게 사람들의 진심은 보이지 않고, 행복함은 보이지 않는다. 그녀는 조슈에의 말처럼 여성스럽지 않고, 거짓말쟁이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녀는 친구의 말때문에 죄책감을 느끼고 조슈에를 구한다. 그리고 조슈에와 함께 아버지를 찾기 위해 가는 동안 몇 번이고 조슈에를 혼자 두고 떠나려하지만 마치 운명의 끈이 둘의 사이를 묶어버린 것처럼 그들은 끝까지 함께한다. 여기저기 옮겨간 아버지의 행적을 쫓으며 조슈에는 마침내 자신의 배다른 형들을 만나게되고 아버지가 어머니인 아나를 찾기 위해 떠났다는 편지를 접하게 된다. 도라가 비웃었던 그들의 사랑이 진실된 것임을 그녀도 깨닫게 되었으리라. 그리고 도라는 조슈에가 형들과 함께사는 것이 더 좋을 것이라는 판단아래 혼자 다시 길을 떠난다. 그리고 조슈에를 떠나며 그녀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도라는 조슈에도 자신을 잊게 될 것이라며 슬퍼한다. 사실 그녀가 많은 사람들과 교제하지 않은 것은 자신의 모습을 기억하지 못하는 아버지때문일 것이다. 자신의 모습을 기억조차 하지 못하는 아버지에 대한 상처. 때문에 그녀는 사람들을 잊지못하고, 사람의 기억을 믿지 못하는 것이다. 마지막 장면에서 눈물을 쏟는 도라의 모습. 그녀는 자신을, 자신의 아버지를 용서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지 않을까.

- 2006년 05월 08일에 본 영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