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랑한 갱이 지구를 돌린다 오늘의 일본문학 5
이사카 고타로 지음, 오유리 옮김 / 은행나무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요새 한참 이사카 고타로에게 정을 붙이고 있는 중이라 읽게 된 책. <사신치바>, <중력삐에로>에 이어 세번째로 접한 책인데 꽤 재미있었다. 영화로도 만들어진 걸로 알고 있는데 책을 보니 영화로는 어떻게 만들었을 지 궁금해졌다. (영화평들을 보니 원작보다 못한 것 같다는 분위기가)

  제목에서 느낄 수 있듯이 이 책에는 '명랑한 갱'들이 등장한다. <공중그네>의 이라부만큼이나 엉뚱하지만, 인간미가 넘치는 그네들의 인생을 엿보고 있자면 그야말로 기분이 유쾌해진다. 4인조 은행강도(둘은 싸우기 쉽고, 셋은 나쁘지 않지만 거꾸로 뒤집으면 균형을 잃기 쉽고, 다섯은 너무 갑갑하기 때문에 은행 강도는 네 명이 필요하다고)가 여느 때처럼 은행을 털기 위해 계획을 세우는 데서부터 이야기는 시작된다.

  이 4명은 제각각의 능력을 하나씩 갖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이들이 걸리지 않고 무사히 은행 강도를 해낼 수 있는 힘이 된다. 예컨대, 타인의 거짓말을 귀신같이 알아채는 '인간 거짓말탐지기'인 나루세는 금고의 문을 열 때 별다른 노력없이 쉽게 진짜 열쇠를 찾아낼 수 있고, 정확한 체내시계를 갖고 있는 유키코는 정확한 시간에 은행 문 앞에 차를 대놓음으로 탈주를 돕는다. 입만 열면 그럴싸하게 말을 늘어놓는 교노는 은행에 들어가 인질들을 상대로 일장 연설을 늘어놓아 인질들의 혼을 빼놓기도 한다. 또, 소매치기인 구온도 그의 능력을 발휘해 은행원의 지갑을 슬쩍해 지갑에 있는 신분증의 주소로 찾아간다는 식으로 협박(?)해 일을 수월하게 만든다. 이렇게 얘기하면 그들이 지독하게 나쁜 놈들이라 생각될 지도 모르지만 사실 그들은 알고보면 그리 나쁘지는 않은 사람들이다.

  이들이 은행을 턴 날 집으로 돌아오던 중 우연히 다른 강도단에게 은행에서 훔친 돈을 빼앗기며 한바탕 해프닝이 일어난다. 자신들의 돈을 되찾기 위해서 좌충우돌하는 동안에 상대편 강도단의 시체를 발견하게 되고 마침내 함정을 꾸며서 그들을 유인해내는 과정들이 재미있게 그려지고 있다. 곳곳에 재치있는 대사들이 등장하고 각 장마다 <세상은 언제나 금요일은 아니지>에서 볼 수 있었던 독특한 사전적 정의가 담겨 있어서 읽는 재미를 더했다. (예를 들어, '회의'는 '회사원의 노동시간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 참가자 수에 비례해 시간이 길어짐. 목소리 큰 사람이 주도권을 잡음. 효과적인 결과를 얻는 경우는 드물고 막판에 보면 시작 전 상태로 돌아가 있는 경우도 많음'이라고 정의하고 있고, '살인사건'에 대해서는 '소설이 추리소설이라는 점을 알기 쉽게 광고하기 위해 제목에 덧붙이는 접미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사카 코다로는 유쾌하다. 유쾌하면서도 사회를 바라보는 눈은 날카롭다. 예컨대, 그들은 경찰복을 입고 있으면 경찰이라고 당연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에 대해 꼬집고 있다. '겉모습만 보고 속아넘어간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나온 것처럼 가짜 경찰의 경우도 속아넘어가는 경우겠지만, 그보다 경찰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범죄자보다 못한 사람들도 분명 이 세상에는 있는 것이다. 우리가 그것을 미처 알아차리지 못하고 있을 뿐. 인간들의 탐욕스러운 행동은 동물을 사랑하는 구온에 의해 비판당한다. 그는 어떤 사람을 동물에 비유라도 하면 "어떻게 감히 고릴라에 사람을 비유하느냐"라는 식으로 역정을 낸다. 만족을 모르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남을 희생시키는 사람들의 모습을 비꼬고 있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유쾌하면서도 날카로운 그의 글을 읽고 있자니 왠지 가슴이 통쾌해지는 느낌이 들었다.

  여느 일본소설들처럼 가벼운 느낌도 있고, 엉뚱한 느낌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특별함을 가지고 있다. 이사카 고타로가 주는 통쾌함, 유쾌함, 그리고 날카로움이 마음에 들어 앞으로 더 이사카 고타로에게 빠져들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로망은 어디에 있는가!"(이들이 일을 시작할 때면 외치는 문구)


영화 포스터.
네이버 영화에는 '활기찬 갱이 지구를 움직인다'는 제목으로 실려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