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캉 읽기 정신분석과 미학총서 2
숀 호머 지음, 김서영 옮김 / 은행나무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비평론 수업을 들으며 라캉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그 전부터 이름은 들어봤지만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알지 못했다) 아무래도 수업만으로는 이해가 어려워 도서관에서 라캉에 관한 다른 책들도 뒤져본 끝에 이 책이 가장 입문서로 괜찮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읽게 되었다. 이 책은 라캉의 주요 이론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고 있는데, 라캉의 이론 자체가 난해한 탓인지 아니면 내가 학문적으로 많이 부족해서 그런지 얇은 책인데도 끙끙거리며 읽어갔다.

  '왜 라캉인가?'으로 시작된 글은 뒤이어 '라캉의 중심 개념들'이라는 제목 하에 상상계, 상징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팔루스의 의미, 무의식의 주체, 실재계, 성차 등에 대해 보여주는데 이 때 , 각 챕터가 끝날 때 그 내용에 대한 요약사항을 제시해줘서 다시금 내용을 정리하며 읽어갈 수 있었다. 중심 개념에 이어서 라캉 이후에서는 라캉으로부터 영감을 받은 연구들(사회 이론, 페미니즘, 문학 및 영화학 등)에 관한 이야기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고, 더 읽을 거리에서는 라캉과 관련된 책들을 소개하며 독자 스스로 좀 더 라캉에 대해 공부할 수 있게 도와주고 있다. 각각의 내용들이 짤막하게 소개되고 있지만 중요 개념에 대해서는 모두 짚어주고 가기 때문에 라캉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입문서로는 괜찮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을 읽으며 좀 더 깊은 영역까지 파고 들고 싶다는 학문적 욕구(?)도 슬그머니 생겼고.  

  라캉의 사상은 문학, 영화학, 여성학 그리고 사회이론에 관계된 학문분야들에 보급되었고 교육학, 법률학 그리고 국제관계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다. 인문학과 사회과학을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라캉은 한 번쯤은 거쳐야할 관문인 것이다. 뭐 요새는 대학에서 전공을 한다고 해도 깊이있는 공부는 하지 않아 접하지 않는 경우도 많지만. (부끄럽지만 4학년이나 되서야 라캉을 접한 나같은 사람도 있다.) 어쨌거나, 지금이라도 라캉에 대해, 그리고 깊이 있는 학문의 입구에라도 온 것을 다행으로 여기련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매지 2007-05-29 12: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라캉의 이론들에 대해 간략히 리뷰에 덧붙이려고 했는데 벌써 퍼가셨군요^^;

이매지 2007-05-29 18: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이 반납일이 오늘까지라 반납했어요. ㅠ_ㅠ
다음에 다시 한 번 읽으면서 정리할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