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정말 오랜만에 접한 김훈의 장편소설. 그것도 <강산무진>에서 만난 단편들처럼 현대가 배경인 이야기가 아닌, <칼의 노래>나 <현의 노래>처럼 과거 속으로 거슬러올라가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왠지 모를 기대감을 품고 보게 되었다. 남한산성을 떠올리면 여인들이 행주치마에 돌을 담아 날라 함께 싸웠다는 내용이 가장 먼저 떠올랐기에 사실 처음에는 민초들의 이야기를 다룬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이 이야기에서는 주인공이 누구라 할 것 없이 남한산성 속에서 버틴 사람들의 이야기가 등장하고 있을 뿐이었다.

  청나라 대군을 피해 강화도로 가려다 길이 막혀 남한산성으로 들어간 인조와 대신들. 성 안에서 대신들은 임금에게 청과 맞서 싸우자고 하는 사람들과(주전파) "죽음은 견딜 수 없고 치욕은 견딜 수 있는 것이옵니다. 그러므로 치욕은 죽음보다 가벼운 것이옵니다."라고 하며 청과 화친하자고 하는 사람들이 대립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청군에 둘러싸인 임금과 대신들, 군사, 그리고 성 안에서 살고 있던 사람들. 그들은 47일간 굶주림과 추위, 그리고 장래에 대한 불안에 휩싸여 성 안에 고립되어 있다. 그들의 나아갈 수도, 그렇다고 싸울 수도 없는 상황. 그 상황을 김훈은 담담하게 풀어가고 있었다.

  분홍빛 표지와는 달리 이 책은 답답하다. 남한산성에 갇힐 수 밖에 없었던 상황이 답답하고, 그 안에서 벌어지는 자기 살을 뜯어먹는 싸움이 답답했다. 결국은 나갈 수 밖에 없는데 언제, 어떻게 나갈 것인가를 두고 생각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답답했다. 마치 언 땅이 녹아내리듯이, 굳은 성벽이 조금씩 무너지듯이, 그렇게 조선이, 주전파가 무너져가는 모습을 보는 것은 씁쓸함을 남겼다. 하지만 결국 칸에게 절을 하고 예를 갖추는 굴욕을 겪는 순간 조선은 새롭게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찾은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 길을 잘 닦았더라면, 그 길을 제대로 찾았더라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삶도 조금은 다르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항상 그렇지만 김훈의 소설은 녹록치않다. 그의 건조한 문체는 어쩌면 이런 식의 역사를 다룬 소설에 어울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가독성의 면에 있어서는 역시 수월치 않았다. 언제나 그렇듯이 꾸역꾸역 책장을 넘겨갈 수 밖에 없지만 그 책을 차마 놓을 수 없게 만드는 것은 김훈의 힘이리라. 이번 책에서 특히 아쉬웠던 점은 특정하게 조명을 받는 인물이 없다는 것이다. 치욕을 감내할 수 밖에 없었던 인조에게도, 한낱 대장장이 서날쇠에게도, 서로 대립된 입장에 서있는 김상헌과 최명길에게도, 그리고 아비를 찾아 성 안에 들어온 나루에게도 조명은 골고루 비춰진다. 하지만 그 모든 인물들에게 조명이 비춰지기 때문에 오히려 이야기의 집중력이 떨어진 것 같았다. <현의 노래>나 <칼의 노래>에서처럼 한 인물에 대해 초점을 맞춰서 서술을 했다면 오히려 더 생생하고 독자의 집중을 끌어낼 수 있는 이야기가 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김훈다움을 느낄 수 있는 책이었지만 한 편으로는 김훈다움에 조금은 실망했던 책이었다. 그가 다음에는 어떤 책을 들고 찾아올런지 궁금해졌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김훈이 "남한산성"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것은?
    from 風林火山 : 승부사의 이야기 2007-11-05 02:36 
    남한산성 - 김훈 지음/학고재 2007년 10월 31일 읽은 책이다. 올해 내가 읽을 책목록으로 11월에 읽으려고 했던 책이었다. 재미가 있어서 빨리 읽게 되어 11월이 아닌 10월에 다 보게 되었다. 총평 김훈이라는 작가의 기존 저서에서 흐르는 공통적인 면을 생각한다면 다분히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작가는 매우 냉정한 어조로 상황을 그려나가고 있다. 소설이기에 작가의 상상력이 개입이 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읽었음에도 주전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