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속의 서울 - 한국문학이 스케치한 서울로의 산책 서울문화예술총서 2
김재관.장두식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문학이라는 한 텍스트를 둘러싼 요인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중 텍스트 안에 존재하고 있는 것은 바로 현실이다. 때로는 현실을 벗어난 가상의 공간을 배경으로 한 작품도 있지만 그 역시 현실의 변주로 작용하고 있을 뿐 전혀 새로운 공간은 아닌 셈이다. 각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삶을 반영하고 있는 문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그들이 생활한 공간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소록도라는 배경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인 것처럼 말이다. 이 책은 '서울'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문학작품들을 통해 각 작품이 반영한 서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문학에 대한 이해, 그리고 서울에서 살아간다는 것에 대해 동시에 보여주고 있는 책이었다. 

  서울은 만원이다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전 국민의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서울에서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그 모든 사람에게 서울이라는 공간은 과연 같은 의미로 다가갈까? 이 책은 변해가는 서울의 모습 속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장인 당신들의 서울에서 길을 묻다에서는 서울에 정착하지 못하고 결국 새로운 희망을 찾아 외국으로 떠나는 사람들의 이야기, 겉으로 보기에는 화려해보이지만 그 뒤에는 어두움이 가득하다는 이야기, 성공하겠노라고 서울에 와서 고생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등의 이야기들이 등장한다. 

  2장인 서울에 뿌리내리다에서는 개발이 시작될 무렵의 서울의 모습에서부터 예전에는 뽕나무를 키웠다고는 믿을 수 없을만큼 아파트로 메꿔진 현재의 모습에 이르기까지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셋방살이를 하며 주인집의 눈치를 보며 살아가는 모습, 똥냄새가 풍기지만 자신의 집을 마련했다는 점만으로 만족하는 사람의 모습, 3년이나 아파트에서 살았지만 옆집에 사는 사람이 '당신을 한 번도 본 적이 없소!'라고 할 정도로 관계가 단절된 모습 등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3장인 사람답게 살고 싶다에서는 서울을 배경으로 한 노동운동과 반미운동에 대해서, 4장인 아름답고 행복한 서울의 뒤편에서는 새롭게 생겨난 계층인 중산층의 모습과 쾌락에 물든 사람들, 부를 얻기 위해 아니꼬운 마음이 있어도 차마 따지지 못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제각각 변해가는 서울의 모습과 함께 그 속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인간군상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서울이라는 화려하기만 한 도시 속에서 그늘도, 상처도 볼 수 있었다. 물론, 겉모습처럼 화려하기만 한 모습도 볼 수 있었지만. 서울은 하루 아침에 생겨난 것이 아니다. 부를 축적한 사람들은 자신들의 능력과 운만으로 그 부를 획득한 것이 아니다. 그 이면에는 자신들의 권리도 제대로 챙기지 못한 채 희생당한 숱한 노동자들이 있었고, 사라져가는 꿈을 부여잡기 위해 발버둥치는 사람들의 희생이 있었다. 현실을 반영하는 문학. 그것이 과연 어떤 것인지 다시금 느낄 수 있게 해줬던 책이었다. 다만 한 주제에 할당된 내용이 그리 길지 않았다는 점과 제시된 소설에 대한 내용보다 시대에 대한 내용이 많아 정작 소설에 대한 부분은 짤막하게 소개된 게 아닌가 싶어서 조금 아쉬웠다. 덧붙여 부조리한 세상이 싸그리 개선될 수는 없겠지만 적어도 문학이 내는 목소리를 통해서 우리가 반성할 수 있는 사회분위기가 만들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