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 최재천의 동물과 인간 이야기
최재천 지음 / 효형출판 / 2001년 1월
평점 :
절판


   정신없이 하루하루를 보내는 현대인들. 하지만 조금만 고개를 돌려보면 우리와 다른 모습으로 살아가는 생명들이 존재한다. 하늘 위를 날아다니는 새들, 부지런히 먹이를 나르고 있는 개미들, 여름이면 귀가 쨍할 정도로 울어대는 매미들. 이 지구는 인간만 살아가는 공간이 아닌 다양한 생명체들이 공존하며 살아가는 공간이다. 하지만 다른 생명체들에 대한 관심은 TV 속에서 보여지는 독특한 방식의 삶을 사는 동물들이나 애완용으로 키우고 있는 몇몇 동물들에게만 한정되어 있다. 이에 생물학자인 최재천은 이 책을 통해 우리가 미처 알아차리지는 못했지만 제각각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동물들의 모습을 통해 우리 인간의 삶을 다시 한 번 되돌아보게 하고 있다.

  기존에 신문이나 다른 언론매체를 통해 기고한 글들을 묶어서 만든 책이라 그런지 한 동물의 삶이 여러번 나오기도 하지만(개미나 까치, 벌의 이야기는 몇 번이고 나온다) 산만하다는 느낌보다는 오히려 반복을 통해 강한 인상을 심어주는 것 같았다. 흔히 동물과 인간의 생활에 대한 글을 쓴다면 '하물며 동물도 이러는데 만물의 영장인 인간은 이러지 말아야지'와 같은 훈계조의 내용(자연주의적 오류)들이 등장한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최대한 그런 훈계에서 벗어나 자연을 바라보는 눈으로 우리의 삶을 뒤집어보려는 노력을 하고 있을 뿐이다. 우리가 자연의 지배자가 아닌 일부라는 사실을 느끼게 하고, 우리만이 우수한 생명체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자신의 아이들을 과잉보호하는 인간과 다르게 치열한 생존경쟁에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인상깊었다. 예를 들어, 백로의 경우에는 같은 어미가 낳은 친형제들끼리 서로 둥지 밖으로 밀어 떨어뜨리거나 어미에게 먹이를 받아먹지 못하게 하여 끝내 죽게 만든다고 한다. 하지만 어미는 이 사건을 마치 그럴 줄 알았다는 표정으로 물끄러미 바라볼 뿐이다. 이런 점들만 봐서 동물들이 잔인하다고 생각할 수만은 없다. 강하지 않은 존재는 결국 둥지를 떠나서도 살아남을 수 없을 것이기때문이다.

  하지만 동물들이 이렇게 냉정한 것만도 아니다. 한편으로는 지극한 자식사랑도 존재하는 법. 염낭거미 암컷은 번식기가 되면 나뭇잎을 말아 작은 두루주머니를 만들고 그 속에 들어앉아 알을 낳는다. 새끼들을 보호하기 위해 일종의 방어막을 만드는 것. 그리고 그 속에서 새끼들은 어미의 살을 파먹으며 성장하게 된다고 한다.

  '알면 사랑한다'는 믿음을 가진 최재천 교수. 그의 이야기를 읽으며 다시 한 번 만물의 영장이라고 온갖 오만한 생각에 빠져있는 인간으로의 삶을 반성해볼 수 있었다. 또, 미처 신경을 쓰지 못했던 많은 생명체들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었다. 모든 생명은 아름답다, 모든 생명은 그 가치를 지닌다는 것을 느끼게 해준 책이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름왕자 2007-08-02 09: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천하고 갑니다.. ^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