씁쓸한 초콜릿
미리암 프레슬러 지음, 정지현 옮김 / 낭기열라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수업시간에 자신의 이름이 호명되어도 고개를 푹 숙이고 대답을 하지 않는 아이,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기보다는 교실 구석에서 조용히 자기만의 세계를 갖고 있는 아이. 그 아이가 바로 이 책의 주인공 에바이다. 마음 속에는 우정에 대한 갈망도 있고, 하고 싶은 말들도 많이 있지만 에바는 뚱뚱한 자신의 몸 때문에 선뜻 나서는 것을 꺼려한다. 그런 그녀가 우연히 미헬이라는 소년을 만나게 되고 자신을 편견없이 대하는 미헬을 통해 에바다움을 조금씩 찾아간다.

  티비를 보면 온통 마른 사람들이 등장하고, 길거리에서도 뚱뚱한 사람을 보는 것이 힘들 정도로 세상은 마른 사람을 위해 존재하는 듯 하다. 어느 정도 성숙한 사고력을 지닌 어른에게도 이는 하나의 고통일 터인데 한창 성장할 나이의 청소년들에게 현실은 너무 가혹하기만하다. 뚱뚱함을 죄악으로 생각하는 아이들, 자신의 몸매때문에 자신감을 잃은 아이들은 우리 주변에도 많다. 단지 몸매뿐만 아니라 누구나 한 가지씩은 자신의 외향적인 모습에 불만을 갖고 있기 마련인 것이다. 하지만 다소 빤해보이긴 하지만 외향적인 면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사람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내면이다. 구태여 외모는 바꿀 수 있지만 내면은 바꿀 수 없다는 식상한 말을 들지 않아도 내면이 꽉 찬 사람은 외모만 번지르르한 사람보다는 강한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이야기 속에 에바는 여전히 뚱뚱한 몸매를 가진 소녀일 뿐이지만 미헬과의 만남이라는 반환점을 통해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살아가게 된다. 요컨대 에바는 자신의 뚱뚱함이라는 단점을 커버할 수 있는 장점들, 즉 남을 리드할 수 있는 자질과 풍성한 숱의 머리카락, 열정적인 춤솜씨 등을 발견하며 좀 더 자신에 대해 자신감을 갖게 된 것이다. 밤에 몰래 자학적으로, 충돌적으로 음식을 집어삼키는 행위를 하는 모습에서 벗어나 당당하게 엄마에게 이왕이면 칼로리가 낮게 요리해달라고 요구하는 모습으로 변화하는 에바. 그런 모습들을 보며 앞으로 그녀가 좀 더 건강하고 밝게, 그리고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을 갖고 성장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