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말로 좋은 날
성석제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기 전에 이 책이 기존에 성석제의 책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는 리뷰를 슬쩍 보고는 어느 정도 각오는 했지만 확실히 기존과는 다른 글에 놀라게 됐다. 성석제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재치있는 입담꾼'이라는 생각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기존 이야기에서 느낄 수 있었던 그런 분위기는 찾기 조금 어려웠다. 하지만 '세상은 바뀌어도 사람은 그대로다. 그대로 있다는 기분이 든다. 생활과 방편이 바뀌어도 내가 아는 사람들 얼굴은 그대로다. 나아지는지 나빠지는지 알 수 없다. 빠른 건 언제나 같다. 내가 바뀐 것인가. 그럴지도 모른다. 바뀌는 게 당연한가. 그럴지로 모른다'라는 작가의 말처럼 이 책은 성석제답기도 하고, 아니기도 한 그런 이중성을 가진 책이라 생각됐다.

  총 7편의 중단편이 모인 이 책에는 사회에서 비주류인생이라 할 수 있을 법한 주인공들이 등장한다. 그들의 비주류적인, 상대적으로 사회에서 박탈당하고 소외당한 인생을 그는 이번만큼은 해학으로 그리고 있지 않다. 오히려 그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기때문에 읽는 사람도 가슴이 답답해지고 '대체 사는 게 뭔가'라는 생각을 하게끔 만들고 있다. 따사롭게 내리쬐는 햇살을 바라보며 '참말로 좋은 날이구만'이라고 말을 내뱉지만, 그것은 '운수 좋은 날'이 그렇듯 어디까지나 반어적인 의미로 작용할 뿐이다. 이 책 속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비참하게 느껴지고, 그게 현실이라는 사실에 더 비참하다. 읽는 이도, 겪는 이도, 쓰는 이도 모두 무거운 마음이 될 수밖에 없는 이야기인 것이다. 하지만 성석제는 이런 무거운 상황을 마냥 무겁게만 바라보지는 않는다. 현실적이긴 하지만 아이러니컬한 설정을 통해 그는 무거움을 조금은 해소해보려는 시도는 하고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이 책은 성석제의 이야기이면서, 아니기도 한 느낌인 것이다.

  비참하고 무거운 이야기의 한 켠에는 현대 사회의 저속함이나 가벼움, 극단적 개인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고귀한 신세>에 등장하는 주인공은 그야말로 극단적인 웰빙 라이프를 추구하며 살아간다. 굵고 길게 살고 싶어하는 이 사람은 부모가 물려준 재산으로 몸에 좋다는 건 다 찾아먹고, 다 하는 사람이다. 이런 그는 '한때 혼자서만 잘 먹고 오래 살려는 이기적인 인간으로 평가받은 적도 있었다. 그는 변명하지 않았다. 타인에게는 무해하고 자신에게는 유익한 것들을 조용히 추구했을 뿐이었다. 시대가 바뀌어 누구나 할 수 있다면 정신적으로, 사회적으로, 육체적으로 행복하고 건강하게 살고 싶어하는 시대가 되었다. 아니 원래 그랬던 것이 노골적으로 담론화되었다. 그는 그러한 성향이 강해지면 강해질수록 그 분야의 선구자로서, 다른 사람의 오해와 모멸을 무릅쓰고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온 사람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결국 변한 것은 그가 아니고, 그를 둘러싼 상황일 뿐이다. 좋게 말하면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하게 사는 삶이지만, 나쁘게 말하면 모두가 이기적인 인간이 되어버린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웰빙을 추구하며 살아가는 그도 결국 사고로 세상을 떠나고 마니 이 얼마나 웃지 못할 상황인가!

  이와 같은 내용은 <집필자는 나오라>에서도 다시 한 번 등장한다. 숙종 때 끝까지 충을 다한 박태보라는 인물을 통해 충과 효라는 사라져가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그는 할아버지의 입을 통해 "충이나 효라 카는 기 꼭 젊은 아들한테마 안 통하는 기 아이라. 요새는 늙은이들도 그런 이야기는 싫어해. 돈하고 술하고 놀음이라는 말만 들으마 심봉사맨쿠로 눈을 번쩍 떠민서. 뭐 시속이 나쁘다는 기 아이고 역사를 자세히 보마 그 속에 있는 사람들한테서 한 분은 들어볼 진리가 있으이. 사람다움이라는 기 뭐냐, 그때 자기가 꼭 안 해도 되는데 나서게 하는 힘이 뭐냐. 이런 걸 어렵고 까시롭기 여길 거 없다."라고 세태를 비난하고, 젊은이의 입을 통해 "요새 사람들은 생각하는 것도 싫어해요. 손가락 끝하고 눈꺼풀하고 입만 움직이려고 하는걸요. 아, 혀도, 끝만."이라고 함께 이 세태를 비난한다.

  다른 성석제의 소설보다 읽으면서 양심에 찔리고, 껄끄러운 부분도 많았지만 그 까칠까칠함마저도 성석제의 방식으로 만나니 더욱 더 가슴에 와닿는 느낌이었다. 기존의 소설과는 다른 모습이었지만 이 모습이 그가 앞으로 써나갈 책들의 과도기적 모습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 그가 또 어떤 이야기를 들고 나올런지, 또 어떤 방식으로 이야기를 써나갈 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