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의 바다에 가라앉는 열매
온다 리쿠 지음, 권남희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삼월은 붉은 구렁을>의 4부인 '회전목마'를 클로즈업한 이 작품에는 실제적인 형태로 <삼월은 붉은 구렁을>이라는 책이 등장한다. 뿐만 아니라 이 책이 어떻게 쓰여진 것인지, 누가 쓴 것인지에 대해서도 살짝 엿볼 수 있는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그 이야기를 썼는지 안 썼는지는 알 수 없게 되어 있지만)

  이야기는 기숙사학교로 떠나는 미즈노 리세를 바라보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기차에서 꿈인지 미래를 바라본 것인지 묘한 경험을 한 리세. 깨고보니 그녀가 가져온 트렁크는 누군가 가져가버린 뒤다. 결국 빈 손으로 기숙사에 들어간 리세에게 아이들은 '2월에 온 아이'라며 뭔가 거리감을 두고 기숙사는 '3월의 나라'라는 이상한 얘기를 계속 듣게 된다. 얌전하긴 하지만 한편으로는 호기심이 많았던 리세는 룸메이트를 통해 왜 기숙사가 '3월의 나라'인지에 대해서 듣게 된다. 뭔가 이질적인 느낌을 받게 된 리세. 리세는 학교의 방침대로 패밀리에 들게 되는데, 이 패밀리에는 최근 2명의 실종자가 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패밀리 멤버들과 함께 심심풀이로 실종사건을 수사하게 되면서 리세의 기숙사생활은 점점 가속화되기 시작한다. 끊임없이 일어나는 사건, 그 속에서 리세는 혼란스러움이나 당황스러움 등을 느끼며 하루하루를 보내게 되는데...

  <삼월은 붉은 구렁을>의 4부를 클로즈업하고 있다지만 <삼월은 붉은 구렁을>에서 언급된 이야기와 <보리의 바다에 가라앉는 열매>는 비슷한 듯 하면서 어딘가 다른 느낌을 풍기고 있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흑과 다의 환상>에서 묘한 그림자로만 드리워졌던 유리라는 여자아이에 대해 좀 더 알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 했었다. 물론, 이 책에서 유리는 나름대로 비중있는 조연급으로 등장하여 그녀가 어떤 성장과정을 거쳐왔는지, 어떤 성격의 인물인지를 엿볼 수는 있었지만 이야기의 초점이 리세에게 맞춰져있기때문에 내면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리세의 눈을 빌려 볼 수 밖에 없었던 것이 아쉬웠다. 결국 <흑과 다의 환상>에서도, 이 책에서도 유리는 다른 사람의 눈으로 파악할 수밖에 없는 인물인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온다 리쿠의 소설에는 유독 기숙사라는 공간이 많이 등장한다. (기숙사가 아니더라도 합숙과 같은 형태로 등장하곤 하는) 비슷한 연배의 아이들이 기숙사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모여 살아가면서 저마다의 비밀을 안고 살아가는 모습은 온다 리쿠의 다른 책에서도 쉽사리 볼 수 있는 요소이다. 하지만 그런 책들은 '비밀'을 추적하거나 자신의 비밀을 털어놓고 새로운 출발을 하는 아이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면 이 책에는 자신의 비밀이 아닌, 학교의 비밀을 추적하는 모습이 나온다. 원하는 모든 것이 주어지지만 뭔가 비밀에 둘러싸인 학교. 그 학교의 진실에 대해 한 걸음씩 다가가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이야기가 끝나고 나서도 어딘가에 밝혀지지 않은 학교의 비밀이 더 숨겨져있는 것은 아닌가, 밝혀진 진실이 정말일까하는 궁금증도 들었던 책이었다. 나의 이런 궁금증은 역자후기에서 봤듯이 '리세가 고등학생이 되어 등장하는 <황혼의 백합의 뼈>를 읽을 때쯤에야 좀 더 해소될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제법 두께가 되는 책이었지만 적당한 분량으로 장이 나뉘어져 있어서 오히려 더 빨리 볼 수 있었던 것 같았다. 특히나 각 장의 맨 앞에 그려진 삽화를 통해 이야기에 대한 호기심을 키울 수 있었던 것 같다. (다소 기묘한 삽화들도 있었지만) 결말부에 가서 다소 멍해지긴 했지만 전반적으로 긴장감있고 흥미로운 이야기였다. 개인적으로는 <흑과 다의 환상>보다 이 책이 더 재미있었다. (뭐 그래봐야 둘 다 재미있었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