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맨홀 뚜껑
금요일 아침이었다. 왼팔에 아기를안고 분유병이 든 어린이집가방과 기저귀꾸러미를 들었다. 제법 무거웠다. 하필 기저귀가 다 떨어져서 갖다줘야 하는날 아침부터 비가오다니! 오른손에 우산을 들었다. 큰애를 비교적 가까운 어린이집 근처까지 보내놓고 돌아섰다. 작은애 어린이집을 향해 내리막길을 걸었다. 한참 걷는데 갑자기 발이 미끄러졌다! 순간적으로 이대로 넘어지면 큰일이다! 아이랑 함께 빗물 고인 땅바닥에 널부러지면 뒷수습이 안된다 하는 생각이 스쳤다. 발에 힘을 주었다. 발목이 기이하게 뒤틀리고, 무릎이 땅에 닿았지만 다행히 넘어지지는 않았다. 아기를 안은 팔에 무의식적으로 힘이 엄청 들어가있다. 힘겹게 몸을 일으키고 아기를 고쳐 안고, 우산도 고쳐 쓴다. 바닥을 보니 맨홀 뚜껑을 밟고 미끄러졌다. 마치 얼음을 위를 걸었던 것처럼 미끄러졌다. 넘어지는 순간 날이 추워서 얼음이 얼은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스쳤다.
비가 오는 날이나, 눈이 오는 날 맨홀 뚜껑을 밟으면 굉장히 미끄럽다. 그런데 골목길을 걷다보면 맨홀 뚜껑을 굉장히 자주 만난다. 작년에는 눈 오는 날 큰애가 맨홀 뚜껑을 밟고 미끄러져서 엉덩방아를 찧었다. 그 이후로 큰애는 맨홀만 보면 멀리서부터 경계하고 있다가 크게 돌아서 가곤 한다. 평소라면 몰라도 오늘처럼 양 손을 다 쓸 수 없는 상태에, 앞을 제대로 살피기 어려운 상황에서 갑자기 미끄러지면 크게 다칠수도 있다. 어쨋거나 아기가 다치지 않아서 다행이다!
둘. 엄마 없는 하늘 아래
오래전에 아주 많이 울게 만들었던, 그 영화 얘기가 아니다. 우리 아이들 얘기다. 아내가 일주일간 집을 떠나 있었다. 멀리 해외출장을 갔다. 그동안 아이들은 엄마 없는 하늘 아래서 일주일을 보냈다. 아내의 해외 출장은 1년마다 한번씩 돌아온다. 작년 가을에만 둘째가 너무 어려서 한 해를 쉬었고, 그 외에는 계속 다녀왔다. 맨처음 아내의 출장때는 나도 걱정이 좀 되었다. 아직 큰애가 어렸기 때문에 오랫동안 엄마랑 떨어져 지내도 괜찮은지 몰랐다. 그런데 의외로 큰 애는 엄마를 별로 찾지 않았다. 특히 밤에 잘 때 엄마를 찾을까봐 걱정을 했는데, 비교적 수월하게 넘어갔다. 큰애는 난지 백일즈음부터 6개월간 내가 육아휴직을 받아서 키웠다. 그 기억 덕분에 엄마 없이도 잘 지냈던 건 아닐까 생각을 했었다. 그런데 두번째, 세번째 해가 바뀌면서 반복되는 출장에 점점 큰애는 힘들어했다. 엄마를 찾으며 서럽게 울어댔고, 전화를 하게 해달라고 졸라댔다. 엄마가 있는 곳은 지금은 밤이라고 전화가 안된다고 얘길해도 통 듣지 않았다. 밤에 잠들기 전에는 힘들어도 안아주고 달래주면 괜찮아져서 잠들었는데, 아침이 가장 큰 문제였다. 아이를 먹이고, 씻기고, 머리 묶어주고, 옷입혀서 어린이집 보내놓고, 출근하기에도 바쁜 아침시간에 아이가 엄마를 찾아 울어대면 대책이 없었다. 얼르고 달래도 소용이 없었다. 억지로 씻기고 어린이집메 밀어넣고 나면 늘 일터에는 지각이었다.
올해는 엄마없이 지낼 아이가 둘이 되었다. 솔직히 둘째는 아직 어리긴 하지만 크게 걱정이 되지는 않았다. 늘 보채고 우는 게 일인 녀석이니까, 엄마가 있든 없든 크게 달라지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다. 문제는 큰애였다. 이 녀석이 이번에도 엄마를 찾아댈 게 뻔하단 생각에 걱정이 되었다.
아내가 떠난 첫날 밤은 둘 다 별 문제없이 잠들었다. 다음날 아침 큰녀석이 깨자마다 엄마를 찾으며 울었다. 애기 젖병을 챙기고, 큰애 준비물을 챙기다가 급히 달래보려고 애를 쓰는데, 이번에는 둘째녀석이 언니를 따라 울기 시작했다. 두 아이의 울음으로 나는 완전히 정신을 잃을 지경이었다. 한 팔에 하나씩 안아들고 간신히 달래고 나니 어느새 시간이 한참 지나있었다. 억지로 애들 준비를 시키고 출발했는데, 앞으로 이 짓을 며칠 더 반복할 생각을 하니 정말 머리가 아팠다. 셋째날 아침에는 둘째녀석이 코를 심하게 훌쩍거렸다. 아무래도 병원을 데려가야 할 것 같은데, 오전에 바쁜 일로 시간을 내기가 어려웠다. 어쩔 수 없이 일단 어린이집에 맡겨놓고, 오후에 시간을 빼서 병원을 가야했다.
그래도 둘째녀석은 아픈 와중에도 씩씩하게 잘 지냈다. 잘 먹고, 잘 놀고 늘 그렇듯 장난을 치고, 말썽을 부리고 온 집안을 왈칵 뒤집어 놓았다. 큰녀석도 평소에는 말을 잘 듣고, 언니 노릇을 잘 했다. 다만 아침에 깨울 때 엄마를 찾는 게 문제였다. 토요일은 출근을 안하니까, 금요일까지가 가장 큰 문제였다. 일요일 오후에는 아내가 돌아오기로 되어있었다. 목요일과 금요일 이틀을 무슨 정신으로 버텼는지 모르겠지만, 어쨌거나 시간은 지나갔다. 금요일 밤에는 완전 녹초가 되어서, 설겆이도 안하고, 젖병 소독도 안해놓고 애들을 재우면서 그냥 뻗어버렸다.
일요일 오후 아내가 돌아왔다. 아이들은 아주 방방 뛰면서 기뻐했다. 큰애는 엄마에게 찰싹 달라붙어서 떨어질 생각을 안했다. 아내는 시차적응이 안되어 피곤하다고 저녁나절부터 계속 잠을 잤다. 애들은 오랫만에 만난 엄마가 안놀아준다고 자꾸 옆에 가서 칭얼거렸다. 아내는 계속 자다가 애들을 씻길 때에 좀 도와주고 다시 잠들었다. 나도 피곤했다. 아이들을 얼른 씻기고 재우고 싶었다. 평소보다 조금 일찍 집안 불을 다 끄고 누웠다. 큰애는 자꾸 엄마에게 말을 시키고 아내는 비몽사몽간에 가끔 대답을 했다. 둘째녀석은 불을 다 껐음에도 불구하고 어두컴컴한 집안을 다 돌아다니며 혼자 놀았다. 아마 아내가 제일 먼저 잠들었고, 나도 곧 뒤따라 잠들었다. 애들은 뭐 알아서 놀다가 잠들었을 것이다. 엄마없는 하늘아래 보낸 일주일이 그렇게 지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