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기 불안, 어떻게 극복하는가?
Ayres, Joe 지음, 전은주 옮김 / 한국문화사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160733

 

체계적 둔감화

 



"생리적 반응에 대한 대표적인 대처 방법은
체계적 둔감화(systematic desensitization)’이다. 이 방법은 1950년대 초반에 고소 공포증과 같은 다양한 공포증에 대한 처치를 위해 개발되었다. 이후에는 이 방법이 대중 연설에서 공포증을 경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입되었다. 그 후 다양한 실험을 통해 체계적 둔감화 방법이 학생들의 말하기 불안 정도를 낮추는 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체계적 둔감화는 불안한 감정과 상반되는 반응이 불안 반응을 대신하여 일어나도록 하는 상호 억제의 원칙이 이론적 기반이다. 이것은 불안보다 이완을 느끼는 점진적인 단계를 거치도록 설계되었다. 첫 단계는 심부 근육 이완 훈련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듣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이론적 설명에 따라 긴장 완화 훈련을 하는 것이다. 기초적인 숨 쉬기부터 손, 어깨, 이마, 목 등의 근육의 긴장과 이완, 얼굴-, -몸통 등 여러 부분의 동시적 긴장과 이완 훈련으로 이어진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특정 말하기 상황을 떠올리며 긴장을 이완하는 연습을 하게 된다. 처음에는 연설에 대한 책 읽기, 연설에 대해 친구와 이야기하기등 긴장감이 덜한 장면을 떠올리고, 차츰 위원회에서 구체적인 대상을 설명하기, 유식한 집단 앞에서 연설하기, 비우호적인 사람 앞에서 연설하기등 긴장의 강도가 높은 말하기 상황을 떠올리며 긴장 이완 훈련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