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름의 찬양 분도소책 35
러끌레르끄 지음, 장익 옮김 / 분도출판사 / 1986년 1월
평점 :
절판


산을 오르는 동안은 워낙 힘이 드는지라 그 노력에 정신을 온통 쏟게 되지만, 정상에 다다라 멈추게 되면 대기와 빛과 풍경의 아름다움이 가슴을 가득 채웁니다. 때로는 중턱에 멈추어 봐도 또한 그렇습니다. 홀연 그 아름다움에 휩싸여 버립니다. 사방의 화려함에 온몸이 젖어드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자신은 아무것도 안 하게 됩니다. 움직이지도 않고 아무런 힘도 안 쓰고 그저 받아들일 따름입니다. 그러고 있으면 삼라만상(森羅萬象)의 아름다움이 사람을 휩싸고 맙니다.

기록을 깨기 위해서 쏜살같이 달리거나 또는 비행기를 타고 전속력을 내는 어른은 아무것도 못 봅니다. 하지만 한눈을 팔면서 길을 다니거나 자전거를 타고 한나절씩 숲 속을 산책하거나 세상모르고 코르코란 대위 탐험기를 읽느라 정신이 없는 아이는 오히려 얻는 것이 많습니다. 모든 것이 살로 갑니다.

데카르트가 자신의 행로를 좌우할 예언적 꿈을 꾼 것도 이를테면 무위도식(無爲徒食)상태에서였고, 뉴턴이 나무 밑에, 아르키메데스는 목욕탕 안에 각각 드러누운 상태에서 큰 꿈을 꾸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플라톤이 아카데모스 정원에서 벗들과 더불어 사색을 한 일도 우리 시대가 말하는 소위 맹렬한 생활 따위는 결코 아니었습니다.

 

----------------------------------------

 

현대는 스피드의 사회로서 무조건 빠른 것만을 추구하다 보니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모른 채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또한, 각종 전자기기에 의존하다 보니 혼자서 사색하는 시간보다는 기계에 의존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다. 이런 기계들로 편리하게 살고 있기는 하지만 잃고 있는 것도 있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빨리 달려가는 중에도 자신을 되돌아보고 자신의 내면을 충만하게 채울 수 있는 여유가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