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든 - 완결판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 지음, 강승영 옮김 / 은행나무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법정 스님의 글 '간소하게 더 간소하게' 중에서 발췌

 

 

월든에 다녀왔다. 헨리 데이비드 소로가 호숫가 숲 속에 오두막을 짓고 살았던 그리움의 터, 그 월든에 다녀왔다. 미국 매사추세츠 주 콩코드 근교에 있는 월든 호반은 10월 말 단풍이 한창이었다. 맑은 호수에 비친 현란한 단풍을 대하자 다섯 시간 남짓 달려온 찻길의 피로도 말끔히 가셨다. “월든을 읽으면서 상상의 날개를 펼쳤던 그 현장에 다다르니 정든 집 문전을 섰을 때처럼 설렜다. 늦가을 오후의 햇살을 받은 호수는 아주 평화로웠다. 호수의 북쪽에 150여 년 전 소로가 살았던 오두막의 터가 돌무더기 곁에 있다. 거기 널빤지에 이런 글이 새겨져 있다.

 

내가 숲으로 들어간 것은 인생을 한번 내 식대로 살아 보기 위해서였다. , 삶의 본질적인 문제에 직면하여 인생이 가르치고자 한 것을 내가 배울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해서였다. 그리하여 마침내 죽음에 이르렀을 때 내가 헛된 삶을 살았구나 하고 후회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 소로

 

22개월 동안 월든 숲 속에서 지낸 이 기간이 소로의 인생에서 가장 의미 있고 아름다운 시기였다. 그는 학생으로서 월든에 갔었지만, 그곳을 떠나올 때는 스승이 되어 있었다. 소로의 생애를 가장 충실하게 기록한 영국의 전기 작가 솔트는 이렇게 말한다.

그가 콩을 심고 콩밭을 매는 일은 자연을 배우고 삶을 배우는 과정과 다름이 없었다. 그런 의미에서 그가 전 미국을 위해 공적인 일을 하여 남길 수 있었던 것보다 월든을 씀으로써 인류에게 남긴 유산이 훨씬 더 훌륭한 것이었다.’

소로의 생활신조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이렇다.

간소하게, 간소하게 살라! 제발 바라건대 그대의 일을 두 가지 세 가지로 줄일 것이며, 백 가지나 천 가지가 되도록 하지 말라. 자신의 인생을 단순하게 살면 살수록 우주의 법칙은 더욱 명료해질 것이다. 그때 비로소 고독은 고독이 아니고 가난도 가난이 아니게 된다. 그대의 삶을 간소화하고 간소화하라.’

 

 

------------------------------------------------- 

이 글에서 법정 스님은 사람은 복잡한 현실에 붙들려 살지 말고, 간소하게 여유를 가지며 살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 현대 사회에서는 일상에 이끌려 살다 보면 정작 중요한 자아를 잃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알면서도 이렇게 저렇게 휘둘리며 사는 대로 살아간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6-02 11: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icaru 2017-06-02 14:51   좋아요 1 | URL
이 발췌글이 너무 마음 무겁게 해드리지는 않았기를요 ㄷㄷ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