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 - 우리는 왜 부정행위에 끌리는가
댄 애리얼리 지음, 이경식 옮김 / 청림출판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77~78

미국의 전설적인 골퍼인 보비 존스는 러프에서 공을 치려고 할 때 공이 조금 움직이는 것을 봤다. 이 광경은 존스 외에 아무도 보지 못했고, 나중에라도 이런 사실이 발각도리 우려도 없었다. 하지만 그는 스스로 벌타를 받았고 결국 경기에서 지고 말았다. 나중에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기자들이 몰려들었다. 하지만 존스는 기자들에게 이 일을 기사로 쓰지 말아달라고 부탁했다.

"내 행동을 칭찬한다면 그것은 은행을 털지 않았다고 칭찬하는거나 마찬가지 아닙니까?"

 

133~134

우리가 유혹을 피하려고 내리는 모든 결정은 어느 정도의 수고를 필요로 한다. (...) 그런데 이런 수고를 반복함에 따라 의지력은 점점 더 소진된다. (...)

자아고갈의 이런 특성 때문에 사람들은 하루가 끝나가는 저녁에 특히 자제력을 잃기 쉽다. 하루 종일 이성적으로 행동하려 애쓰다가 저녁이 되면 뇌가 지친 나머지 욕망에 쉽게 굴복하고 마는 것이다.

 

175쪽

우리는 단 한 차례의 부정행위도 사소하게 봐 넘겨서는 안 된다. 사람들은 흔히 누군가가 처음 어떤 잘못을 저질렀을 때는 용서한다. 처음 저지른 실수이고 또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초의 부정행위가 어떤 사람이 자기 자신 및 그 시점 이후의 자기 행동을 바라보는 방식을 결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191쪽

사람들은 내가 설명하는 실험들의 결과에 크게 놀라지 않았으며 그런 사실을 아무렇지도 않게 내게 말했다. (...) 그 후 (...) 질문을 던지고 잠시 생각할 여유를 준 다음 각자 예상하는결과에 투표하거나 종이에 적으라고 했다. (...) 이 방법은 유효했으며, 이후 '나는 처음부터 다 알고 있었다'는 반응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 사람은 천성적으로 자신이 정답을 처음부터 알고 있었다고 스스로를 설득하는 경향이 있다.

 

266쪽

사소한 잘못은 그 자체만으로는 (상대적으로 볼 때) 그리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이런 것들이 쌓이고 모이면 잘모소딘 행동을 대대적으로 해도 괜찮다는 어떤 신호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잘못된 행동 하나하나가 모여 만들어 내는 효과가 단 하나의 부정직한 행동에서는 상상하지도 못할 결과를 빚어낼 수 있다는 사실을 꺠닫는 것이 중요하다.

 

267~268쪽

이들(정치인, 공무원, 사회 저명인사, 기업 경영자 등과 같이 대중의 관심을 집중적으로 받는 사람들)에게만 특별히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게 자칫 공정하지 못하게 보일 수 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관찰하게 되는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이 한층 크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는 그냥 보아 넘길 일이 아니다. 이들의 잘못된 행동은 사회적으로 훨씬 더 큰 악영향을 끼치며 더 큰 비용을 부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 저명인사들은 다른 사람들에 비해 자신의 잘못에 대한 처벌은 지나치게 가볍게 받으면서보상은 지나치게 많이 받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