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 기간에 읽게 될 두 권의 책이다.

 

 

   뉴스가 우리에게 절대 가르쳐주지 않는 것들은 무엇일까? 뉴스가 정말로 의미하는 바는? 뉴스가 우리 삶의 핵심적인 질문들과 어떻게 연결되는 걸까? ... 이 모든 게 정말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매일매일 쏟아져 나오는 뉴스와 무관하게 살고 싶었던 적도 있다. 그렇게 살면 시대에 뒤떨어진 인간이 될 거라는 암묵적인 협박들에 이랑곳하지 않고 말이다. 그렇지만, 그런 태도 또한 융통성 없는 잘난척의 일종일거다. 보다 지혜롭게 살고자 한다면, 뉴스와 떨어질 게 아니라, 그렇다고 뭐든 들어와라 다 받아들일테닷, 도 아니고, 뉴스를 늘 접하면서도 이 정보와 거리를 두고 익숙한 필터링 마저도 의심해야겠다. 왜냐하면, 진실이란 복잡한 거니까.

 

 

 

 

보통 님의 책들은 내가 퍽 많이 덤벼들었다가는, 겉만 핥고, 말았던 경험이 수두룩이다. 모두 열거하면 다섯손가락이 모자란다... 불안, 일의 기쁨과 슬픔, 여행의 기술, 행복의 건축, 젊은 베르테르의 기쁨 같은 책들... ㅠㅠ) 그래도 특유의 위트와 통찰... 내 완벽히 이해는 못해도...! 인정인정...

 

전에 어떤 분의 블로그에서 알랭 드 보통 님의 서재 이미지를 가져온 적이 있다.

 

 

 

 보통 님의 서재... 사진 촬영이 있던 저무렵 보통 씨네 부부는 어린 자녀 양육에 바쁜 나날들 보내느라, 서재를 꾸밀 여유 같은 건 없었다는 설명 글도 읽었던 듯하다.

 

서재도 이름(?)처럼 정말 노말하시구먼. 알랭 드 노말 님. ㅋ

그다지 멋있지는 않지만, 책꽂이와 책이 가득한 매우 기능적인 공간인듯,, 미적 요소가 있는 곳도 아니고, 알랭 드 보통 님 왈,

'만약 제 작업공간이 매우 아름답다면 전 일을 하지 않게 되요. 저에게 있어, '일'은 제 주변에 존재하는 것보다 더 아름다운 무언가를 창조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다소 의도적으로 저는 고풍스러운 서재 같은 것은 두지 않습니다.'

 

 

 

 

최근 2년간 다산북스, 유유 출판사에서 나오는 책들을 꽤나 사들이고 접했던 듯하다. 주로 공부법 혹은 평생공부, 인문학 강의 등과 같은 책들이 주로 출판되는 회사인데, 이 책 내가 공부하는 이유,가 나온 출판사 걷는나무도 눈여겨 봐야겠다. 사람의 인생이란 어차피 늘 지는 게임 같은 거라고 생각한다. 질 때 지더라도, 책으로 내공을 쌓은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쓰러지고 난 후의 태도와 질량(?)이 다르다. 

사실, 공부법에 대한 책들을 읽어오면서, 번지수를 잘못 찾았다는 느낌이 드는 책도 있었다. 제도권의 기관(대학원이나 기타 등등)에서 학업을 수행할 때, 따라야 할 설계도 같은 것이 주로 나와 있는 책이었거나, 철학 관련 학술적인 내용을 공부할 때의 길잡이에 관한 것이었거나... 그러니까 책에 결함이 있다는 게 결코 아니다. 내가 집을 잘못 찾아갔다는 거지. 그런데, 이 책은 편안하게 읽을 수 있을 거 같아서 말이다. 이 책이나 일본 수학자가 쓴 '학문의 즐거움'이라는 책처럼, 책에 자기 이야기가 있어야 진정성이 살아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4-09-05 11:5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