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억관 옮김 / 민음사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밑줄 친 부분들~

 

"아무리 밋밋하고 평범하더라도 삶에는 살 만한 가치가 있지. 그건 내가 보장하지. 아이러니나 역설 같은 건 빼고 하는 말이야. 다만 나에게는 그 가치라는 게 좀 부담스러웠을 뿐이야. 그놈을 제대로 짊어지고 나아갈 수가 없어. 아마 나면서부터 거기에 맞지 않는 것 같아."


"하루키 소설에서 받는 위안의 종류는 그때그때 달랐던 것 같다. 스무살 혹은 서른살 언저리에서는 어떤 감응 받았었는지, 여기서 머리카락 쥐뜯으며 회상해도 되지 않는다면, 현재만 말하련다."


"대인 관계 같은 거 서투르고 부족하거나 오타쿠스러워도 괜찮아. 아무리 밋밋하고 평범하더라도 너는 너대로의 가치가 있거든. 모두가 " 



"자기 개발 세미나와 기업 연수 센터를 합친 것 가은 사업을 추진했어. 기업 전사를 양성하기 위한 즉석 세뇌 코스. 경전 대신에 매뉴얼 북을 활용하고 깨달음이나 낙원 대신에 출세와 고임금을 약속하는 거야. 실용주의 시대의 신흥 종교라고나 할까. 그러나 종교처럼 초월적인 요소는 없고 모든 것이 구체적으로 이론화되고 수치화되어 있어. 아주 깔끔하고 알기 쉬워. 거기서 긍정적으로 고무된 사람도 적지 않아. 그러나 일관적으로 달콤하고 편리한 사고 시스템의 최면적 주입이라는 데는 변함이 없지. "


"잘 정돈된 얼굴에 몸가짐이 예쁘다. 호감이 간다. 머리카락은 늘 깨끗하게 컬을 넣고 있다. 이런 여자들은 돈이 좀 드는 사립 여대에서 프랑스 문학을 전공하고 졸업해서는 그 지역 회사에 취직하여 리셉션 데스크 담당이나 비서 일을 한다. 거기서 몇 년을 근무하고 한 해에 한 번 정도 여자친구들과 파리 여행을 하고 쇼핑을 한다. 미래가 밝은 남자 사원을 찾아, 또는 선을 봐서 결혼한 다음 축복 속에서 퇴직한다. 그다음은 자식을 유명 사립 학교에 넣기 위해 열성을 다한다. 쓰크루는 의자에 앉아 그런 여자의 일생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


"별로 대단한 것도 아냐. 대학을 나와 대형 은행에 들어갓지만 일이 재미없었어. 위에서는 진짜로 무능한 놈들뿐이었고, 눈앞에 있는 일밖에 생각이 없고 자기 한 몸 지키기 급급해서 미래를 보려 하지 않았지. 일본 최고 은행이 이 지경이라면 ..."


"회사 생활을 통해 배운 또 한 가지는 이 세상 대부분의 인간은 남에게 명령을 받고 그걸 따르는 일에 특별히 저항감을 갖지 않는다는 거야. 오히려 명령을 받는 데 키쁨마저 느끼지. 물론 불평불만이야 하지만 그건 진심이 아냐. 그냥 습관적으로 투덜대는 것뿐이야. 자신의 머리로 뭔가를 생각하라, 책임을 가지고 판단하라고 하면 그냥 혼란에 빠지는 거야. 그러면 바로 그 부분을 비즈니스 포인트로 삼으면 되지 않겠느냐고 생각했던 거지."


"종교적 컬트나 자기 계발 세미나의 수업을 가미했지. 미국에서 성공을 거둔, 같은 계통의 비즈니스 업무 내용도 연구했어.

어디까지나 과학적이고 실천적이고 세련되어야만 해. 사회적 상식의 범위 안에서 실행될 수 있어야 해. "


"흔한 이야기야. 가엾지만 예술 세계에서는 자주 일어나는 일이지. 재능이란 그릇과 같아. 아무리 노력해도 그 사이즈는 쉽게 바뀌지 않아."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4-05-23 15:5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