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하는 사람들의 독서습관 - 독서경영 전문가 안계환이 알려주는 성공독서법
안계환 지음 / 좋은책만들기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나는 아직도 이런 책도 읽는다. 성공과 연관시켜 책읽기를 강조한 책. 물론 인생의 묘미나 해학 즐거움을 알게 하는 책읽기를 소개하는 책도 읽는데,,, 이 책은 그렇지 않다. 그리고 이런 성공하는~ 습관,, 류의 책을 읽고 있는 모습은 다른 사람들에게 들키지 않았으면 할 때가 많다. 헤~

 

이와 유사한 책이 시중에 얼마나 많이 있나. 그리고 꼭 이런 류의 책 중에 거론하는 인물 중에 안철수, 워렌 버핏, 최재천은 필수 3인방이고 말이다.  그리고 이런 책을 읽는다는 건 말하지 않고, 언급하지 않을 수 있다면 그러고도 싶다는 생각이 들만큼. (앞에서 이야기한 거 중언부언)

차례를 봐도 알 수 있지만, 저자는 편집자적 입장에서 모두가 알법한 인물들의 독서 사례를 상술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물론, 저자 또한 열성적인 독서가임은 말할 것도 없고. 주로 지식 추구형의 비문학 독서에 치중하는 관점인 것도 이 책의 특징.

 

 

 

 

 

"일본의 지성으로 불리는 다치반 다카시는 취미로 책을읽지 않는다. 지식을 쌓기 위해 읽고, 써야 할 글을 위해 읽는다. 최재천 교수와 정재승 교수의 읽니는 자신이 전공하고 있는 학문을 더 발전시키고 다른 사람들에게 과학 분야를 알리기 위해서이다. 한근태 대표는 글쓰는 기반을 다지기 위해 책을 읽기 시작했고, 세상의 이치를 깨닫기 위한 독서를 한다. "

 

즉, 정서 함양이나 삶의 지평을 넓히거나 감동을 얻는 독서라기 보다는 소기의 목적이 있는 독서 업무를 잘하기 위한 독서, 학문을 잘하기 위한 독서, 실무와 현장 경험을 정리해 놓은 방법론적인 것들을 섭취하려는 독서를 설파한 것이다.

 

 

최재천 교수는 일곱살에 가족이 모두 서울로 이사왔다고 어머니의 교육열 때문이었다고, 자신의 책 <과학자의 서재>에서 밝혔었다. 아버지가 군인이라서 이동이 잦은 편이었다고 했던가 아버지만 전방에 근무하셔서 어머니가 왔다갔다 두 집 살림을 해야 하셨다고 했던가 ( 군인이셨다는 것은 소설가 김영하의 유년 소개와 내가 헷갈려 하고 있는 건지도...). 아무튼 고향 산천에 어머니가 계셨다는 것은 무슨 소리인지.. (이런 책을 쓸 때는 사전조사도 제대로 하고 써야 할 듯하다.)

 

 

다치바나 다카시의 14가지 독서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