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짜 경제학 (개정증보판) - 상식과 통념을 깨는 천재 경제학자의 세상 읽기 Economic Discovery 시리즈 4
스티븐 레빗 외 지음, 안진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식어 붙은 경제학( *** 경제학,  경제학 *** 등등)에 알러지가 있다. 경제학 콘서트도 끝까지 못 읽었다. ‘괴짜’스러운 것을 아무리 즐긴다 한들 그게 경제학을 수식하는 단어라면, 일단 장막을 하나 치고 대할 수밖에.

 

그런데 어떻게 이 책을? 그것도 끝까지 무척 흥미롭게 읽어냈을까?

 

우연히 알게 되었다. 저자가 첫 아이를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온 폐규균으로 하늘나라에 보냈다는 사실을, 그것도 아기가 한살을 갓 넘겼을 때.

아닌 게 아니라, 경제학자라는 저자의 이 책 삼분의 일 분량이 부모가 얼마나 중요한가! 하는 -좋은 질문이지만 지독하게 복잡한 질문이기도 한 - 물음에 답을 찾고 있다.

일례로 '부모와 아이 성적'의 상관 관계를 찾는 것이 그것인데...

사회 통념이 틀렸을지도 모르는 부분을 알아차리기 위해 이기적이고 조잡한 사고의 흔적을 뒤지고- 회귀 분석(다른 모든 점에서는 비슷하고 한 가지에서만 다른 두 아이를 조사하여 그 한 가지 요소 때문에 아이의 학교 성적에 차지가 나는지 알아보는 것)- 해서 드디어 나온 결론은 ‘아이의 성공을 위해 부모가 무언가를 해 주려는 노력’과 실제 아이의 성공과는 상관이 없다는 것이었다. (똑똑한 아이는 그 아이가 태어나기 전에 이미 결정지어진다는 의미다.)

노력을 통해서 부모들로서는 적어도 양육에 최선을 다한다는 위안을 줄 뿐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납득이 어렵다고 발끈해도 헛수고다. 스티브 레빗 왈, '데이터가 그렇다'고 말을 하고 있으니...


 전반적으로 이 책은 우리가 알고 있는 통념, 그리고 전문가 집단에 대해 회의를 품으라고 말하고 있다.

사실 아무런 소득도 가져다 주지 않을지언정 사물이 겉보기와는 어떻게 다른지 단서를 찾아 헤매며 스스로 많은 질문을 던져 보라고. (그리하면 모든 숨겨진 의미를 파헤질 수 있을 것이다. 때로는 낭패감이 들고, 때로는 빨대를 통해 세상을 들여다보는 것 같은 기분이 들겠지만...)


그랬을 때 우리가 발견하게 되는 아이디어 몇몇은 그것의 비윤리적인 성격(일테면, 낙태를 허용하는 게 범죄를 줄이는 길이라는 결론을 도출) 때문에 우리에게 껄끄럽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지만, 어차피 윤리학이 이상 세계를 반영한다면 경제학은 현실 세계를 반영하는 것이기에......

 

그런데, 저자는 기존 학계의 비판을 많이 받았을성 싶다. 대개 좌파 이론가들이 그때까지 간과되었던 하나의 사건을 가지고 거대한 사회적 경향성을 설명해 냈다고 주장하는 피터 래핏이 주장하는 바와 같은 가설에는 당시에는 뒷받침하는 데이터가 있더라도 결국에는 거짓으로 밝혀지는 편인데, 이이 피터래빗은 당당하게 이론들을 대중화시키고 있다.

 

30~31

 

이 책은 아주 특별한 시각으로 쓰였으며, 그 기저에는 몇 가지 기본 전제가 깔려 있다.

첫째, 인센티브는 현대의 삶을 지탱하는 초석이다. 그리고 인센티브를 이해하는 것, 혹은 그것을 탐색하는 것이야말로 폭력범죄에서 스포츠 부정 행위, 온라인 데이트에 이르기까지 일상의 모든 수수께끼를 푸는 열쇠다.

둘째, 우리가 진실이라고 믿는 사회 통념 가운데는 잘못된 것들이 많다.

셋째, 전혀 예상치 못한 극적인 결과는 흔히 거리가 멀고 미묘한 요인을 원인으로 한다.

넷째, 범죄학에서 부동산 중계업자에 이르기까지, 이른바 '전문가'들은 정보의 우위라는 강점을 자신의 아젠다를 위해 사용한다. 그러나 이들은 스스로의 게임에서 패배할 수도 이쓴데, 인터넷 시대의 도래로 말미암아 정보의 우위가 매일매일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