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꿀맛선생님 - 사교육 없이 일등으로 키우는
최연숙 지음 / 21세기북스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꿀맛 같이 읽었다. 일문일답 형식으로 되어 있어, 사례별로 훑어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처음에 읽었던 저자의 또다른 책( )을 읽을 때, 자신의 자녀들 이야기를 들으면서 나는 사실 둘째는 왜? 라는 석연찮은 지점들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이 책또한 전작에서의 내용과 중복되는 면이 있지만, 더 정제가 된 내용이고, 불필요한 사교육비 때문에 기죽는 엄마들을 위한 훌륭한 지침을 주기 위해 애쓰는 육아 스승님 내지는 선배님으로 다시 보인다.

엄마들이 아이 교육에 연연하는 이유는 굳이 아이를 특별히 영재로 키우려고 생각한 것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아무도 빼앗아갈 수 없는 아이의 평생 재산이 무엇인지 알고 있는 엄마라면 엄마로서 그것을 주기 위해 노력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것은 주변의 정보를 제대로 받아들이고 이해할 줄 아는 능력과 그 능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문제를 바르게 해결할 줄 아는 힘. 그리고 아이 교육엔 그 시기에 꼭 필요한 적기 교육이라는 게 있다고 한다. 그리고 누구는 세 살 전이 중요하다고 하고, 하지만 대략 10살 이전이 가장 중요하다고도 한다.

이 책을 읽으며, 나의 육아 환경적인 면을 둘러보게 되었다.

아빠들은 대부분(지인들 중에 남편이 애들하고 놀아줄 마음에 설레하며 퇴근길에 종종걸음한다는 사람도 몇 보았다.) 아이 교육에 직접 동참하기보다 한 발짝 떨어져 있다. 그러므로 아빠는 엄마처럼 아이의 부족한 부분을 속속들이 알지 못한다. 또 직장 일에 지쳐 있어 아이가 정말 무엇을 필요로 하며, 언제쯤 어떤 교육이 필요한지 깊이 생각해볼 마음의 여유를 갖지 못한다. 아이가 또래에 비해 부진하다거나 하는 부분을 보고 있기 괴로워하는 엄마의 마음을 맹렬 혹은 극성이라며 나무란다. 그러니까 구체적으로 말하면 대체로 경제적인 지원 부분에서 그렇다. 엄마가 아이를 끼고 가르치고 하는 것까지는 그래, 우리 마누라 육아(교육시키는 거) 하나는 똑부러지는구나! 할지도... 하지만 아내의 육아(교육) 제동을 거는 지점은 경제적인 부분이다. 일테면 학원을 보내야겠다거나, 책을 사야겠다거나 하는 부분들.

이럴 때 자의식 강하고 논리적인 유형의 엄마들은 “당신만 돈벌어요? 가사 노동의 가치가 얼만지 알기나 해요? 잘 키워 보겠다는데 왜 간섭이야!” 라고 항변할 수 있는데, 이때 부부싸움으로 번질 공산이 있다. 다음은 순종형의 엄마들 남편의 “어릴 때는 잘 놀게 하는 게 평생 자산이야!” 등의 이야기에 설복 당하여, 사려 했던 책이나 보내려던 학원을 포기한다. 

자저는 굳이 두 유형 중 나은 쪽을 택하라면 남편의 반대를 몸을 던져서라도 막고 아이의 교육을 이끌어보려는 첫 번째 엄마가 더 낫다고 한다. 두 번째 유형은 훗날 아이의 교육 시기를 놓쳐 많이 힘들 수 있고. 무엇보다 문제인 것은 아이의 교육에 비협조적인 남편일수록 훗날 아이 교육의 모든 잘못을 아내 탓으로 돌린다는 것이다.

저자가 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나 돈 벌었어요. 글쎄 누가 급히 책을 처분한다고 해서 반값도 안 되는 가격에 샀어요.”

“아빠처럼 똑똑한 아이로 한번 길러 보려고 책 한 박스 샀는데.... 책값으로 한 달 점심을 굶어 보려고~”

“우리 엄마는 왜 돈도 없으면서 애들 책을 보내셨는지 몰라.”

치사한 방법으로 산 거지만 나중에 다 보상받을 수 있다고. 


 

 

칭찬과 꾸중 스킬

공부나 습관이 아직 익숙해지기 전이면 일단 칭찬으로 일관해 그 습관을 익히도록 도와주고, 일단 궤도에 올라왔다 싶으면 적당히 지적해 발전된 모습으로 이끌어야 한다.

아이가 발전을 거듭해갈수록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 적당한 지적이 곁들여져야 하고 칭찬 또한 그 근거를 분명히 가지고 있어야 한다. (...)

학습이 아닌 행동 면에서의 꾸중이나 나무람도 마찬가지다. 아이가 미처 습관으로 체득하지 못해 실수를 반복하는데 격려 과정도 없이 나무라기만 한다면, 아이는 아예 좋은 생활습관에 접근도 하지 못할 것이다. (...)

때로는 엄하게 다스려야 할 부분도 있다. 도덕적으로 옳지 못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피해주는 행동 등은 따끔하게 혼을 낼 수도 있어야 한다. 아이들에게는 엄마가 가장 싫어하는 말과 행동을 미리 반복해 알려주고, 그 말이나 행동을 보이면 갑자기 얼굴빛을 바꾸며 꾸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