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어진 아동 - 문화, 이데올로기, 아동 이야기
조셉 조네이도 지음, 구은혜 옮김 / 마고북스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아동문학에 대한 기존의 생각을 바꿔놓고 있다. 아동문학은 결코 순진하지 않으며,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아동문학은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고.  

아동문학은 성인어른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아동의 이미지를 머릿속에 정해놓고 그에 걸맞는 아동을 양산하고 교묘하게 조종하기 위해 성인의 시각에서 성인의 '올바른 이데올로기'를 잣대 삼아 무의식으로 재구성하고 편집한 아동 이야기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런 논의는 비단 이 책의 저자 조네이도가 처음으로 제기한 것은 아닐 듯도 하다.  

어릴적에 읽었던 이본인지 원본인지 모를 콩쥐팥쥐나 장화홍련전을 보면, 사악한 계모와 팥쥐를 잡아다가 젓갈로 만들다는 서술이 있었던 것이 인상적이었고, 지금 생각해도 참 충격적이다. 권선징악을 떠나서 지배층이 약자층을 다스리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했다고나 할까, 울음을 뚝 그치지 않으면 "더 엄한 벌을 줄" 것이야 라고 엄포를 놓으며 절대 복종*순종하는 올바른 행동법들을 가르치는 수단쯤.  

그림형제의 동화들, 안데르센의 동화들, 모리스 센닥의 작품들 해석의 도구들로 나온다.  

 

확실히 부모는 자녀를 사랑한다. 여기서 나의 관심을 끄는 것은 지배 이데올로기가 그 사랑 표현을 구조화하는 방법이다. 아동에게 있어서 그 사랑은 종종 고독하고, 폭력적이며, 고통스럽고 수치스러운 경험으로, 성인의 동정과 이해보다는 권력과 권위 행사와 더 많이 연관되어 있다. 왜 그럴까? 아동을 향한 성인의 사랑과 아동을 통제하려는 성인의 욕망의 대부분이 동질의 무의식적인 충동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알려진 사실과 다르게, 사랑은 성인이 자신의 무의식의 세계를 실제 관계의 페다고지로 투사한, 이데올로기적으로 결정된 정신역동의 결과물이다. 성인의 관계 페다고지에는 항상 어린 시절부터 억압된 두려움, 분노, 슬픔, 욕구가 담겨 있다. 성인의 관계 페다고지를 통한 무의식적인 투사는 성인의 사랑이 아동을 이데올로기적으로 형상화하는 주요한 정신역동학적 기제임을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